단계4 - 작업별 비용경사 구하기 공기단축시 1일단축으로 인한 직접비의 추가분을 구합니다.
단계5 - 최소비용에 의한 공기단축 주공정선(CP)상의 작업중 비용경사가 최소인 작업을 대상으로 공기단축을 합니다.
단계6 - 최적공기 구하기 공기단축으로 인한 직접비의 증가분과 간접비의 감소분의 총합계가 최소가 될때의 공기(최적공기)를 구합니다.
다음은 공정관리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공정관리에서 출제되는 두가지 유형 즉,"여유시간문제"와 "공기단축문제" 중에서 먼저 여유시간문제 에 대하여 작업순서별로 학습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단계1 - 공정표 그리기 (교재 3-15)
공정문제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작업 DATA가 주어지면 그에따라 공정표를 그리는 것입니다. 공정표를 그릴때는 각작업과 선행작업의 관계를 주의하여 그리는데 교재 3-18에 나와있는 연습문제 4가지를 공부하여 요령을 익히도록 하세요.
공정표를 그릴때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공정표를 그릴때는 무의미한 더미에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공정표를 그리고 난뒤 반드시 뒤쪽부터 순서가 맞는지 체크한다. ② 각 작업별 소요일수를 기입한다. ③ 결합점 번호를 기입한다. (0부터든 1부터든 화살표 진행방향으로 부여한다) ④ 이때 공정표는 그리는 사람에 따라 약간씩 다르게 그려질수 있습니다.
단계2 - 일정계산하기 (교재 3-19)
일정계산시 대개는 CPM기법이 출제되므로 이 방법으로 익혀둔다. 전진계산에서는 EST와 EFT를 기입하고, 역진계산에서는 LFT와 LST를 기입한다.
일정계산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일정계산에 들어가기 전에 반드시 문제지를 읽어서 CPM인지 PERT인지를 확인한다. ② 기법에 따라 기호를 그려주고 일정계산에 들어가는데 이때 일정계산 순서는 결합점 번호순서 대로 계산해 간다. ③ 전진계산시 큰값을, 역진계산시 작은값을 기입해 주는데 특히 역진계산시 경로를 빠뜨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④ 일정계산한 숫자는 공정표를 어떻게 그리느냐에 따라서 약간씩 달라질수 있습니다.
단계3 - 여유시간 계산하기 (교재 3-24)
CPM기법에 의한 여유는 전체여유(T.F.) 자유여유(F.F.) 종속여유(D.F.)로 나뉘는데 TF = FF + DF 이고, 여유를 가지고 있는 경로 중에서 가장 후속작업의 여유가 자유여유이고, 선행작업의 여유는 종속여유가 된다.
① 여유시간 계산은 작업순서(A, B, C) 대로 한다. ② 임의 작업의 여유를 구할때는 우선 그 작업의 EFT를 구한다.(EST+소요일수 또는 □안의 숫자+소요일수) ③ TF = LFT - EFT (△-EFT) ④ FF = 후속작업의 EST - EFT (후속 □ -EFT) 특히 주의할 사항은 뒤에 더미만 있는 경우의 작업에서 FF를 구할때는 더미 다음 결합점의 [후속 □ -EFT]로 구한다. ⑤ DF = TF - FF
여유시간을 구하는 문제와 관련하여 교재 3-30페이지 부터 5번, 9번, 11번, 16번, 18번, 19번, 20번 문제등은 반드시 풀어보셔야 합니다. (물론 나머지 문제들도 풀어보셔야죠 ^.^)
다음 특집시간에는 공정관리 학습전략2 "공기단축문제"에 대하여 심도있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