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합격수기

2025년 1회차 토목기사 합격수기
박*민2025.06.13

저는 토목 전공자이지만 한솔아카데미의 '토목기사 환급연장반' 인강을 결제하고 공부했습니다. 한솔아카데미는 토목인이라면 모를 수가 없는 인강 사이트여서 주저없이 바로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동회차 합격을 하면 환급을 해주는 것이 저에게 굉장한 동기부여가 되었습니다.

제가 토목기사에 합격할 수 있었던 노하우(?)를 공유해드릴게요 ㅎ


📚필기📚

<공부 기간>

2달

<공부 전략>

1️⃣ 고득점 과목 두 개 설정

80점 이상 득점한 과목이 두 개가 있으면 나머지 과목은 과락만 면한다는 느낌으로 공부하면 무난하게 합격하기 때문에 고득점 (80점 이상)을 받을 수 있는 과목을 두 과목은 만들자는 목표로 공부했습니다.

저는 고득점 과목으로 응용역학과 측량학을 노렸습니다. 두 과목은 계산 문제가 주를 이루다보니 공식 몇 개만 암기해도 풀 수 있는 문제가 굉장히 많아 제 기준에서는 고득점이 쉬웠습니다.

2️⃣ 기출문제 CBT 회독

이게 정말 제일 중요합니다!! 토목기사 필기는 시험문제가 문제은행식으로 나오기 때문에 CBT 문제가 그대로 나옵니다. 인터넷에 보면 몇개년 치 몇 회독 했다 이런 얘기가 정말 많은데 저는 기본적으로는 4개년 치 6회독을 했으며, 상하수도공학만 5개년 치 4회독을 했습니다.

3️⃣ 오답노트 작성

기출문제를 풀 때는 막 푸는 게 아니라 다 풀고 나서 틀린 문제들을 노트에 정리하면서 공부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문제가 있다면 옳지 않은 것을 적는 것입니다. 문제은행식으로 출제되기에 이렇게 공부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었던 것 같습니다.

<토목기사 필기 공부법>

1️⃣ 응용역학

기본 개념이 매우 중요한 과목입니다. 대학교 3년 내내 정역학, 재료역학 등등을 공부했지만 다시 처음부터 강의를 들으며 기본 개념부터 학습했습니다.기출문제 CBT를 돌리면서 어려웠던 계산 문제들은 위의 사진과 같이 문제의 그림과 답을 적어놓고 답만 외우는 식으로 공부했습니다.

 

2️⃣ 측량학

계산 문제와 이론 문제의 비율이 반반 정도 되는 과목입니다. 3학년 2학기에 측량학 관련된 전공 강의를 수강했기에 개념서는 따로 보지 않고 바로 CBT 문제풀이를 했습니다. CBT 문제풀이를 하면서 위의 사진과 같이 개념문제의 개념들만 따로 모아서 정리했습니다. 그리고 측량학 문제들을 풀 때 필요한 공식은 몇 개 안되니 노트 한 장에 정리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3️⃣ 수리수문학

제 기준에서는 제일 점수가 안 나오는 과목이었습니다. 시험에서도 40점으로 겨우 과락을 면한 과목이기도 하고요. 그만큼 어려운 과목이기에 강의를 들으며 개념을 학습했습니다. 이후에 기출문제 CBT를 돌리며 모르는 문제들을 노트에 정리했습니다. 이 과목은 저도 겨우 과락을 면한 과목이기 때문에 딱히 노하우는 없네요...

4️⃣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3학년 때 콘크리트 관련 전공 강의를 수강했지만, 어려운 개념과 공식들이 굉장히 많기에 강의를 들으며 개념을 학습했습니다. 이렇게 강의를 열심히 들으며 공부를 끝내고 처음으로 기출문제 CBT를 풀어보니 20문제 중에 아는 문제가 5문제밖에 없어서 바로 멘탈이 와르르 무너지더라고요. 그래도 계속 풀다보면 어느 정도는 풀 줄 알게 됩니다.

이 과목은 안 중요한 부분이 없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파트를 공부하셔야 돼요...화이팅👏👏

 

5️⃣ 토질 및 기초

교재 맨 처음에 나오는 '흙의 각 성분의 상관관계' 이 파트를 제대로 숙지하지 못한다면 풀 수 조차 없는 과목입니다. 그러니 교재 첫 부분 개념은 무조건 다 알고 있어야 합니다!!

 

6️⃣ 상하수도공학

상하수도공학 개념서를 보면 숨이 턱 막히는 느낌이 드실 겁니다. 저도 그랬으니까요. 그래서 저는 개념서는 스킵하고 바로 CBT 문제풀이를 했습니다. 10개년치를 3회독 정도 하니 어느정도 문제 패턴을 파악하겠더라고요. 그렇게 10개년치를 5회독 정도 하니 CBT 문제풀이를 하면 안정적으로 60점 이상 득점이 가능했습니다.

그리고 저는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핸드폰으로 틈틈이 기출문제를 풀었습니다. 이론을 물어보는 문제가 많다보니 핸드폰으로 CBT 문제 풀이가 충분히 가능하더라고요.

상하수도공학으로 고득점을 노리시는 분들도 많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60점 이상이 안정적으로 나오기만 하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실기⛏️

<공부 기간>

1달 반

<공부 전략>

⭐️공정관리, 물량산출 파트는 무조건 맞추기⭐️

공정관리와 물량산출 두 문제의 배점을 합하면 28점이기에 합격 커트라인인 60점에 거의 반을 차지합니다. 그만큼 중요한 파트니 처음에 공부하여 문제 푸는 숙련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부 방법>

1️⃣ 공정관리 및 물량산출

필기 합격 후 일주일 정도 쉬고 제일 먼저 공정관리부터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사실 공정관리는 매우 쉽기 때문에 집중해서 공부하면 3일이면 다 끝낼 수 있을 정도입니다.

그리고 물량산출을 공부했습니다. 처음에 도면을 보고 지레 겁을 먹으실 거라고 생각하는데요. 정작 문제를 풀다보면 그냥 삼각형, 사각형 넓이랑 길이 구하는 것이 전부이기 때문에 매우 쉬운 부분입니다. 철근량 구하는 것도 한솔아카데미 강의를 열심히 들으시면 충분히 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공정관리와 물량산출 파트는 1주일 반 만에 공부를 다 했습니다.

이후에는 매일 아침에 공정관리 1문제, 물량산출 1문제를 꾸준히 풀었습니다.

 

2️⃣ 지반공학

지반공학 개념서는 패스하고 바로 블랙박스 교재로 넘어갔습니다. 옆에 살짝 나와있는 개념들을 보고 문제를 풀다가 막히는 부분이 있으면 그 때 강의를 듣는 식으로 공부를 했습니다.

 

3️⃣ 말따먹기

기출문제에 나와있는 말따먹기들만 모아도 A4용지 29페이지가 나올정도로 엄청난 양을 자랑하는 말따먹기인데요. 그냥 이건 처음부터 끝까지 다 외워야 합니다. 외우는 게 귀찮다고 포기해버리면 잃는 점수가 꽤 크기 때문에 열심히 해야합니다. 그래도 쉽게 외우는 방법은 앞글자만 따서 외우는 것입니다.

 

4️⃣ 기출문제

기출문제는 6개년치 2회독을 했습니다. 기출문제를 풀 때 실제 시험장에서 푸는 것처럼 풀이과정을 깔끔히 쓰면서 푸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시험장 관련💯

<필기 시험장>

저는 3월 4일에 "한국산업인력공단 인천지사"에서 필기 시험을 치뤘습니다. 아침 9시 시험이어서 시험장에 8시 20분 쯤 도착했더니 대기실로 안내받았습니다. 대기실에는 책상과 의자가 쫙 있어서 거기서 마지막 공부를 할 수 있었습니다.

시험 보기 전에 연습 종이 한 장과 볼펜 한 자루를 주시는데 시험 보다가 손 들고 있으면 연습 종이를 한 장씩 더 주시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시험은 집에서 CBT 연습하던 그대로 나오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실기 시험장>

실기 시험은 4월 20일에 "방화중학교"에서 치뤘습니다. 역시나 아침 9시 시험이어서 8시 20분쯤에 도착해서 시험장으로 바로 입장했습니다.

그런데 실기 시험은 9시에 바로 시작하는게 아니라 9시부터 시험 안내사항들을 안내해주고 수험번호 작성과 같은 잡다한 것들을 다 하고 9시 30분에 시험을 시작합니다. 급하게 외웠다가 시험 시작하자마자 시험지에 적으려고 했던 저로서는 상당히 당황스러웠던 30분이었습니다 😢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은 저처럼 당황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ㅎㅎ

저는 물량산출 → 공정관리 → 말따먹기 → 나머지 문제 순서로 문제를 풀었습니다. 아무래도 물량산출이 가장 집중력을 요구하다보니 집중력이 좋은 처음에 물량산출을 풀었습니다. 이거는 각자마다 다를 수 있으니 집에서 기출문제를 푸면서 가장 잘 집중할 수 있는 문제 풀이 순서를 찾으셔야 합니다.

그리고 물량산출은 검산할 때 기존의 풀이를 보면서 검산하면 절대 안됩니다‼️ 기존의 풀이를 보면 뭐가 틀렸는지 모르기 때문에 시험지 빈 칸에 다시 풀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시험볼 때 물량산출만 3번 풀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