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합격수기

2025년 토목기사 1회차 합격수기
이*협2025.06.17

Q. 자격증 준비 당시 상황은 어땠나요?
저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이었고, 학교에서 응용역학, 수리학 등 다양한 전공 과목을 수강하며 어느 정도의 기초는 갖춘 상태였습니다.

Q. 필기와 실기 공부 기간은 각각 얼마나 되었나요?
필기 공부는 2025년 1월 1일부터 2월 14일까지 진행했지만, 중간에 설 연휴 등으로 쉬었던 날들이 있어서 실제 순공부 기간은 약 한 달 정도였습니다. 필기 합격 후에는 2주 동안 휴식을 취했고, 이후 3월 1일부터 4월 20일 실기 시험일까지 하루도 빠짐없이 공부했습니다.

Q. 공부하면서 힘들었던 점과 한솔아카데미에서 좋았던 점은 무엇인가요?
저는 이론을 이해하고 공식을 활용해 문제를 푸는 방식은 잘 맞았지만, 측량학이나 상하수도공학처럼 암기 위주의 과목은 다소 어렵게 느껴졌습니다. 하지만 한솔아카데미 강의에서는 앞글자를 따서 외우는 방식이나, 복잡한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 주는 방법 등을 알려주셔서 훨씬 수월하게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Q. 과목별 공부법과 본인만의 꿀팁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모든 공부에서 기초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한솔에서 제공한 기초역학 교재부터 먼저 풀었습니다. 이후에는 노란색 과년도 교재를 활용해
응용역학 → 수리학 → 토질역학 →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 측량학 → 상하수도공학 순으로 이론 수업을 들었습니다.
강의는 처음엔 1.5배속으로 빠르게 들으며 어떤 내용을 배우는지 전체적인 흐름을 먼저 파악했고, 이후 2단계, 3단계 문제를 처음 풀 때는 시간을 들여 풀이 방식을 이해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문제를 반복해서 풀다 보니 공식도 자연스럽게 외워졌습니다.

필기 공부는 많은 회독이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문제 수와 범위가 워낙 넓기 때문에 처음부터 모든 문제를 꼼꼼히 보기보다는 반복적으로 풀면서 익숙해지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습니다.

실기 공부는 빨간색 교재 3권으로 진행했습니다. 먼저 2권 뒤쪽에 있는 물량산출과 공정관리부터 공부했는데, 이 두 분야에서 점수를 놓치면 합격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교재에 수록된 모든 문제를 빠짐없이 풀었고, 이후 1권부터 순서대로 공부를 이어갔습니다. 마지막으로는 3권에 실린 과년도 문제 10년치를 반복해서 풀었습니다. 실기시험은 한 문제도 빠짐없이 정리하고 푸는 것이 합격의 관건이라고 생각합니다.

Q. 자격증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요?
처음 토목기사 시험을 접하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문제를 차근차근 풀다 보면 자연스럽게 익숙해지고 실력이 올라가는 걸 느낄 수 있습니다. 끝까지 포기하지 말고, 자신을 믿고 열심히 준비하셔서 꼭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