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합격수기

토목기사 합격 수기
신*철2025.06.20

안녕하세요 저는 토목공학 전공자로 1학기 학교 수업을 병행하면서 이번 1회 기사 시험에서 필기는 7주, 실기는 6주 정도 준비해서 합격했습니다. 

[필기]

올해 1월 초부터 2월 말까지 7주라는 준비 시간이 적지 않았기 때문에 정석대로 공부하자는 생각으로 임했습니다. 필기가 총 6과목으로 내용이 많아 우선 인강을 보면서 저만의 방식으로 내용들을 정리하며 머리에 집어넣으려고 노력했습니다.

-인강 수강 및 교재 풀이

그날 정한 목표 수강 범위까지 인강을 듣고 내용을 노트에 정리한 뒤, 교재의 단원별 핵심문제는 다 풀어보고 대단원 정리 문제는 양이 좀 많아 홀수나 짝수 번호만 풀어보고 틀리거나 헷갈렸던 문제는 따로 표시했습니다. 남은 대단원 문제들은 주말에 이전 내용들이 기억이 안 날 때 풀었습니다. 2월 초 무렵 6과목 인강을 모두 수강했고, 내용들을 노트에 따로 정리했습니다.  

-기출 문제 풀이

각 교재별로 뒷부분에 있는 5개년 기출문제들을 시간을 재며 풀었고, 틀린 문제는 오답노트로 따로 정리했습니다. 중간중간 헷갈린 개념은 제가 정리한 노트를 다시 보면서 공부했습니다. 필기 시험 일주일 전쯤 5개년 기출문제를 다 풀었고 블랙박스에 있는 문제들을 풀며 감을 유지했습니다. 이후 시험 전까지 기출문제 오답노트와 제가 따로 정리한 노트를 다시 보면서 공부했습니다. 인강 내용을 정리한 노트와 오답노트가 필기 고득점에 가장 큰 기여를 했다고 생각합니다. 

-필기 팁

한솔 아카데미에서 시험 전에 무료로 배포해주는 모의고사 풀어보시길 바랍니다. 모의고사에서 나왔던 문제들을 푸는 게 실제 시험장에서도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실기]

-인강 수강 

학기와 겹치면서 3월 초중순부터 인강 수강을 시작했습니다. 공정 관리, 물량 산출, 토목시공학 순서로 인강을 들었습니다.

처음엔 공정관리 그림과 물량산출 내용 자체가 잘 이해가 안 가서 힘들었지만 인강을 다시 돌려보며 이해하고 교재의 문제도 풀어보며 조금씩 감을 잡았습니다. 토목시공학 내용의 반 이상은 필기의 토질역학과 겹쳐서 공부하는 게 어렵지 않았습니다. 다만 시간 관계 상 모든 내용의 인강을 보진 않았고 계산 문제로 많이 출제되는 토질, 기초, 옹벽, 기계, 토공, 배합설계 내용을 우선 인강을 듣고 내용을 정리한 뒤 기출문제 풀이로 넘어갔습니다. 

-기출 문제 풀이

4월 초부터 시험 전 주까지 교재 3권의 2015년~2024년 10년 기출을 하루에 2개 이상 풀고 오답노트에 틀리거나 헷갈린 문제들을 따로 정리했습니다. 시험 전 날까진 오답노트를 보면서 공부했습니다. 

-주관식 문제 공부

말따먹기라고 불리는 주관식 내용들은 인터넷에서 13개년 이상의 기출문제들을 모아놓은 파일을 따로 다운 받아 시험 2주 전부터 암기하기 시작했습니다. 내용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시간을 두고 천천히 암기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기출 문제의 틀린 말따먹기 문제들도 오답노트에 따로 정리하여 다시 보면서 암기했습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공부하여 실기에서도 80점 이상의 고득점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실기 팁

실기 답안지는 모두 볼펜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기출문제 풀 때 공정관리 문제만이라도 연필과 자로 그림을 그리고 볼펜으로 덧쓰는 연습을 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모든 계산 문제들을 연필로 먼저 쓰고 볼펜으로 덧쓰면 시간이 부족했습니다. 계산문제들은 실수했더라도 볼펜으로 두 줄을 긋고 다시 쓰면 되니까 내용이 길어지고 복잡한 문제만 볼펜으로 덧쓰는 걸 추천드립니다. 

[한솔 아카데미의 장점]

필기와 실기 모두 내용이 적지 않기 때문에 내용을 잘 정리하는 게 관건이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한솔아카데미 각 과목 선생님들의 인강이 가장 큰 도움이 됐습니다. 독학으로 교재만 봤다면 핵심을 이해 못하고 단순히 어려운 공식들만 힘들게 외우고 있었을 것 같습니다. 또한 학습 Q&A 게시판도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기출문제를 풀면서 이해가 안 가는 부분들을 과목 선생님들이 빠른 시간안에 답변해주셔서 혼자 공부하는 데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