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합격수기

2025년 토목기사 1회차 합격수기
민*홍2025.06.21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토목환경공학과 4학년 재학중입니다. 기사시험을 보기전 저의 주변인들은 모두 막막한 심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어려운 시험이라고도 생각을 하기도 하고, 한번에 끝내자는 심정으로 한솔아카데미 환급과정을 수강했습니다. 저의 준비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필기시험

필기시험은 1달 반정도로 기간을 잡고 시작했습니다. 겨울방학이 시작했을때 시작을 하였고, 먼저 개념을 잡기 시작했습니다. 6개 과목의 개념에 관한 강의영상들을 모두 한번씩만 보고 감을 잡은뒤 바로 노랭이책 뒤쪽에 있는 최근개년부터 6개년치를 풀었습니다. 계산문제들 위주로 있는 토질역학, 철근콘크리트, 응용역학 부분은 1바퀴는 이해하고 공식을 적고, 2바퀴부터는 스스로 한번풀어보고 못푼 문제들을 따로 체크하고 마지막 3바퀴째는 못풀었던 문제들 위주로만 풀었습니다. 못풀었던 문제들만 풀었을시 하루만에 6개년치 즉 19개의 모의고사를 검토 할 수 있었습니다. 다음으로 암기과목 위주인 수리학, 상하수도공학, 측량학 부분은 거의 시험 3주전부터 모의고사를 풀기 시작하여 2바퀴까지는 반복적으로 풀고 전체적으로 강의를 보면서 필기해야 하는 부분들을 정리한뒤 시험전까지 외우기를 반복했습니다. 이를 통해 86점을 맞고 합격을 하였습니다.

실기시험

실기시험은 개강을 한뒤 학교 수업진도를 따라가면서 물량산출과 공정관리를 위주로 강의 영상을 보았습니다. 이의 개념을 다수강하는데 약 1주일 정도 시간을 가졌고, 바로 과년도 풀이를 시작했습니다. 필기시험과 마찬가지로 6개년을 먼저 수강을 하였습니다. 먼저 계산문제 위주인 토목시공학은 해설을 위주로 흐름을 따라가고, 모르는 부분은 인강을 들을면서 이해를 해가면서 1바퀴를 끝냈습니다. 이후 2바퀴째는 혼자서 풀어보되 모르는 부분은 따로 체크를 해두었고, 마지막 3바퀴째는 모르는 부분들을 위주로 풀이가 될때까지 풀었습니다. 공정관리 부분도 주공정선을 찾는것을 기반으로 그림을 많이 그리면서 하였습니다. 공정관리도 토목시공학과 마찬가지로 모르는 부분들은 인강을 위주로 이해를 해가면서 풀었습니다. 물량산출부분은 콘크리트량을 구하는 것과 거푸집량을 구하는것은 어느정도 노과다 문제이기에 몇 문제들만 랜덤으로만 풀어 감을 잃지 않도록 했고, 철근량을 구하는 것만 반복적으로 3바퀴정도 공부 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시험 2주전 앞에서의 과정들을 모두 끝낸뒤 말따먹기 부분들을 외우기 시작했습니다. 말따먹기는 소모성이 너무 강하기에 마지막으로 공부하기로 하였고, 2주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반복적으로 했습니다. 시험을 본뒤 점수는 71점으로 합격을 받았습니다.

필기, 실기시험 둘다 과년도 6개년치를 공부하였고, 필기는 쉽다고 느껴지는 바에 실기는 비교적 어렵다고 느껴졌습니다. 작년 24년 3회차 실기가 합격률이 굉장히 낮은 것을 보았을때, 실기 시험의 난이도는 예측하기 어렵다고 느낍니다. 따라서 제가 추천하는 과년도는 필기는 최소 7개년, 실기는 최소 8개년부터 10개년을 잡고 하시면 합격에 수월하실것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