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측량질문 있습니다
신*혜2018.01.31답변완료

기출문제를 풀다가 문제가 이해가 잘 되지 않아서 질문 드립니다.

1) 배횡거 문제에서 '임의 측선의 배횡거=전 측선의 배횡거 + 전 측선 경거+그 측선의 경거' 라고 하는데 '전 측선의 배횡거' 라는 말이 전 측선의 경거라는 뜻인가요? 전 측선의 경거를 두번 더하면 되나요??

 

2) 방위각 문제가 잘 이해가 안됩니다ㅠ 다음 측선으로 갈 때 전측선의 방위각 +180도를 하거나 -180도를 하는데 그 기준이 무엇인가요? 무조건 처음 방위값이 180도보다 작으면 더하고 크면 빼주는건가요? 

 

 

답변고길용2018.02.01 17:50

안녕하세요~ 측량학 강의를 담당하고 있는 고길용입니다.

아마도, 이론강의를 시청하지 않으신 분이라 사료됩니다. ㅎㅎ

(이론강의시 강조를 많이 헀는데....) 암튼!

1. 배횡거는 횡적인 거리의 두배를 의미하지만 꼭 경거의 2배라 할 수는 없습니다.

부호때문에 그러지요~ 그래서 공식으로 하나전 배횡거+하나전경거+자기경거를 더하라고 외우셔야 하구요~ 따라서 배횡거는 방위각과 비슷하게 하나가 잘못되면 계속해서 틀려지므로 조심하셔야합니다.

그럼 공식에서 첫번째 배횐거를 구하려면 하나전이 없으므로 0+0+자기경거이므로 첫배횡거는 자기경거와 같아집니다.

두번쩨베횡거는 하나전배횡거(첫번째 배횡거)+하나전 경거+자기경거 입니다.

따라서 하나전 경거 +하나전경거+자기경거 이므로 오해하신듯 합니다.ㅎㅎ

값은 같을지라도 의미가 완전히 다르므로 원칙을 꼭 지켜주셔야 세번째 배횡거부터는 잘 계산이 되실듯 합니다.

 

2. 방위각은 진북을 기분으로 시계방향으로 각을 표시하는 것이며 360도보다 크다는것은 한바퀴를 회전한것이므로 의미가없어서 360도를 빼서 표시하며

-각이 나오는것은 반시계방향을 의미하므로 360도를 더해서 시계방향으로 표시하는것을 말합니다.

예) 방위각 400도는 360도를 빼서 40도로 답하시고, -40도는 결국 360도를 더하면 320도 즉, 시계방향으로 320도로 회전한것을 의미합니다.

그림으로 그려서 이해해 보시면 좋을듯 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