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경동선생님
한솔 11년도 3월 72번문제와 12년도 5월 70번문제입니다.
1.구멍에 위치에 따라 d값을 어떻게 빼줘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일반적인경우 bn은 bg에서 첫번째 구멍 d를 빼주고, 대각선이 나올 때마다 w=d-(p^2/4g)를 빼주고, 직선의 구멍이 생길 땐 다시 d를 빼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첫번째 그림의 경우에 bn=bg-2d-w는 첫번째 구멍에서 d를 빼주고, 두번째 구멍(직선으로 생긴 구멍)에서 다시 d를 빼주고, 마지막 대각선으로 구멍이 나왔으니 w를 뺴줘서 공식이 bg-2d-w인 것이죠?
그런데 두번째 그림의 경우는 첫번째 구멍 d를 빼주고 대각선이 2개니까 -2w인 것은 이해가 갑니다 하지만 -2d가 되는 것은 이해가 어렵습니다.
2.유효폭을 구할 때 대각선일 경우 -w=d-(p^2/4g)을 해주는데 대각선일 때는 어떤 원리 때문에 -w를 해줘야하는지 궁금합니다.
3.w는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의 거리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경동입니다.
인장재의 순폭을 구하는 공식을 요렇게 잡으세요.
총폭에서
첫 번째 구멍을 구멍지름(d)를 공제하고
그 후는 계속 d-(p^2/4g)을 공제한로 잡으세요.
그리고 구멍과 구멍사이의 수평간격과 수직간격을 차례로 대입하시면 쉽게 잡을 수 있습니다.
그럼 1번에 적용해 볼게요.
bg에서 첫 번째 구멍은 d를 빼고 그 다음은 d-(p^2/4g)을 빼야 하는데 수평거리 p=0을 대입하시고, 마지막 구멍도 d-(p^2/4g)을 빼주면 됩니다.
2번도 함께 적용해 볼까요.
bg에서 첫 번째 구멍은 d를 빼고 그 다음은 d-(p^2/4g)을 빼고, 세 번째 구멍도 d-(p^2/4g)을 빼야 하는데 수평거리 p=0을 대입하시고, 마지막 구멍에서 다시 d-(p^2/4g)을 빼주면 됩니다.
결국 최초구멍만 d를 빼고 나머지는 모두 d-(p^2/4g)을 빼는 개념입니다.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