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빨간교재 3-120페이지 5번
이 문제에서 모멘트의 방향이 왼쪽으로 작용하니까 편심이 A,B와 같은 쪽에 있으므로 전체부호를 +로 생각하는게 맞는건가요? 전체부호와 x의 부호가 둘다 -로 되어있는데 그냥 처음부터 +로 생각하면 되는거죠
2.빨간교재 3-160페이지 21번
침하량 공식에서 H는 양면배수이든 일면배수이든지간에 점토의 전체두께를 쓰는게 맞는거죠?
3. 빨간교재 3-193페이지 27번
자연상태의 성토량이 =30000+36000=66000으로 되어있는데 모래의 완성토량을 빼주려면 다짐상태의 성토량 아닌가요? 왜 자연상태의 성토량이라고 하는건가요?
안녕하십니까? 홍성협입니다.
1. 잘 이해하셨습니다. 가장쉽고 간단하게 접근하는 방법은 질문하신 방법으로 접
근하시는게 맞습니다.
2. 네 맞습니다. 침하량 계산시 배수조건은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배수조건은 압밀시간 계산시에만 중요한 요소로 고려됩니다.
문제에서 일부러 함정을 만들어 논겁니다.
3. 좋은 지적입니다. 자연상태의 성토량을 그냥 성토량이라고 표현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질문하신것 처럼 다짐상태의 성토량이라고도 표현하셔도 되나 성토라는 말 자체가 다짐이 고려된 말이므로 그냥 성토량이라고 하셔도 됩니다.
좋은 질문 하셨습니다. 얼마안남았습니다. 힘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