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지점에서 최대휨모텐트를 구하려면 연행하중 중 큰 쪽이 그 지점에서 가장 먼 곳에 위치할 때를 구하면 된다는 말 같은데
왜 B지점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이 힌지 G인지 모르겠습니다. B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은 A이고 G보다 먼 C도 있는 데 왜 연행하중 중 큰 쪽이 G에 있어야 B지점의 최대휨모멘트를 구할 수 있나요?
반면에 이 문제에서는 그 지점에서 최대휨모멘트를 구할 때 연행하중 중 큰 값이 바로 그 지점을 지날 때의 휨모멘트를 구하고 있습니다.
82번 문제에서는 지점의 최대 휨모멘트를 구할 때 그 지점과 가장 먼 곳에 연행하중 중 큰 값이 위치할 때를 구해야 한다고 했는 데 왜 이번 80문제에서는 지점의 최대휨모멘트를 구할 때 연행하중 중 큰 값이 바로 그 지점에 위치할 때의 휨모멘트를 구하나요? 둘의 차이가 무엇이길래 최대휨모멘트를 구하는 위치가 달라지느는 지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문제의 조건들이 그러하기 때문입니다.
(1) AG단순보와 GBC내민보의 조합인 겔버보에서 B점에 최대휨모멘트가 생기는 경우는 이동하중이 AG단순보에 위치할 때 G점에 최대한의 반력이 생길때 이것을 G점에 하중으로 작용시켜 GBC로 전달될 때입니다.
(2) C점의 최대휨모멘트를 묻고 있으므로 C점에 큰쪽의 하중인 100kN이 작용할 때의 휨모멘트를 계산하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