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러스 종류에서 하우트러스를 보면 직사각형 형태의 모습에서는 중심에서 삼각형을 그린다는 모습으로 트러스가 전개되는데(오른쪽 아래에서 왼쪽 위로 경사재 그려짐) 삼각형 형태의 트러스에서는 내부가 오히려 직사각형 형태의 프랫트러스를 넣어둔 모양처럼 생겼습니다.(경사재가 왼쪽 아래에서 오른쪽 위로 전개됨) 모양을 보고 이 트러스가 어떤 종류인지 구별을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경사재 모습을 보고 판별하면 될 거라고 생각했는데 직사각형 형태의 모습과 삼각형 형태의 경사재 모습과 진행이 다르니 구별이 어렵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A위치에 대한 오류가 있는 것 같습니다. A점에 대한 모멘트 합을 구하는 데 이때 2P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림에서 A점은 2P의 작용점으로 모멘트를 구할 때 포함될 수 없습니다.
예제9번에서 모멘트를 구하는 지점은 그림에 표시해둔 A,B점 중 어디인가요? 계산식을 보면 A점으로 보입니다. A점을 기준으로 하면 경사재에 대한 수평반력, 수직반력을 구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경사재에 대한 수평,수직 반력을 구하지 않으려면 기준점을 50KN이 작용중인(B지점에서 오른쪽으로 4M 떨어진) 지점이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30번 문제에서도 마찬가지로 해설에서는 C점을 기준으로 모멘트를 구하면서 경사재에 대한 분력을 처리하지 않고 있는데 기준점을 D점으로 잡아야 경사재의 분력 계산이 필요없는 거 아닌가요? 저는 기준을 C로 잡으면 경사재 분력을 처리해야 하는 위치에 있다고 생각하는 데 답변이 궁금합니다. 경사재 분력은 D점에서 수직, 수평으로 발생하니까 C점이면 거리가 발생하고 그러면 분력과 거리를 곱한 모멘트가 계산에 반영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해당 분야의 권위있는 학자 내지는 엔지니어가 그렇게 이름을 지명했고, 모든 사람들이 인정하고 통용하고 있는 이름이므로 기억하시는 수밖에 없습니다.
(2) 해설의 ∑M_A=0 이 잘못되어 있습니다.
∑M_A=0 을 ∑M_왼쪽지점=0 으로 수정해주시기 바라며, 개정판에는 오류를 바로잡아 놓도록 하겠습니다.
(3) 지점반력을 구한 후에 구하고자하는 부재가 지나가도록 수직절단합니다.
구하고자하는 부재를 제외한 나머지 두개의 화살표가 모이거나 시작하는 점을 찾아 그곳에서 M=0이 적용된다는 것을 기억하시면 되겠습니다.
구하고자하는 부재를 제외한 나머지 2개의 미지수를 M=0이라는 조건으로 없애겠다는 의도입니다.
핵심예제 9번에서는 상현중앙절점이 되겠으며, 30번 문제는 왼쪽에서 두번째의 하현절점이 M=0을 적용할 계산위치가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