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발 접시계수=저수지 연증발량/접시 연증발량인데 그럼 문제에서 저수지의 연증발량이 700mm으로 주어졌으면 저 값을 그대로 써야하는거 아닌가요?
증발접시계수를 왜 다시 곱하는건가요?
매번 질문들에 대해 친절히 설명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문제 해설 시 합리식을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댐건설이전 Q= 연강수량 × 유역면적 × 유출계수
댐 건설이후 Q = (연강수량 - 저수지 증발량) ×유역면적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저수지의 증발량은 증발접시계수= 저수지의 연증발량/접시의 연증발량으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댐건설이전 Q= 1m × (20×106)m2 ×0.4 = 8×106 m3
댐 건설이후 Q = (1 - 0.8×0.7)m ×(20×106)m2 = 8.8×106 m3
댐 건설 후 하천유량 증가량은 (8.8-8)×106 m3 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