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첫번째 사진에서는 다른문제들과 달리 직접푼 값과 해설의 오차가 커서 여쭤봅니다.
두번째 사진에서는 보통 쇼벨에서는 f=1/L이지만 이 문제에서는 주어진 조건에서 토량환산계수가 f=1로 주어져서 그렇게 풀었더니 틀려버렸는데, 혹시 저거는 함정으로 저렇게 적어둔 건가요? 아니면 문제의 오류인가요?
안녕하십니까? 홍성협입니다.
1. 2022년 2회 1번
계산문제는 산출방법과 중간값의 소수점 처리로 인하여 최종답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오차는 산출근거만 명확하다면 정답으로 인정 될 수 있습니다.
인 경우 1m2당 흙의 중량을 계산할 때 체적을 계산하고 중량을 계산하면서 오차가 발생하였습니다.(해설은 체적을 별도로 계산하지 않고 한번에 중량을 계산하였습니다.)
해당부분은 산출근거를 잘 표현하였으니 문제없습니다.
또한 살수량의 단위N을 L로 환산하는 과정에서 해설은 1L=10N으로 가정하여 풀었는데 최근 출제되는 문제의 경우 물의 단위중량을 9.81로 제시해 주는 경우가 많으므로 질문하신 방법으로 환산하는게 좀더 정확한 값이 산출됩니다.
결론적으로 풀이 잘하셨습니다.
20년 2회 21번 문제
먼저 문제는 수험자에 기억으로 복원 정확하지 않을수 있습니다.
문제가 좀 특이합니다. 토량환산계수 f와 토량변화율 C,L값이 전부 주어져 있습니다.
문제에 주어진 쇼벨의 토량환산계수 f= 1은 1회 작업량에 대한 토량을 변화없이 그대로 표현하는 환산 계수 값입니다.
즉, 느슨한 상태를 느슨한 상태로 표현하는 토량환산계수 일수도 있고, 자연상태를 자연상태로 표현하는 토량환산계수 일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무조건 토량환산계수가 주어졌다고 그대로 사용할게 아니라 문제의 조건을 확인하시고 적용하여야 합니다.
문제에 주어진 토량환산계수(f=1)는 쇼벨의 토량환산계수라고 주어졌습니다만, 그대로 적용하면 작업량이 느슨한 상태로 계산되며, 토공량을 느슨한 상태(50000xL)로 적용하여 작업일수를 계산하여야 합니다.
문제의 해설에서는토량환산계수(f=1/L)를 적용하여 자연상태의 작업량을 계산하고 토공량을 자연 상태로 계산하여 쇼벨의 작업일수 계산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어떠한 방법이든 상관은 없지만 건설기계의 작업량은(다짐기계 제외) 일반적으로 자연상태로 산출하기에 교재의 해설처럼 풀이하시는게 좋습니다.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마지막까지 열심히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