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토목시공 배합설계 P-2-240 에 가, 단위수량 산출
이*수2018.06.27답변완료

단위수량  산출시  19.56  과  11.98은  어디서나오는  숫자인가요

답변박광진2018.06.28 10:23

1. 시방배합에서 계산된 단위잔골재량과 단위굵은골재량은 골재의 함수상태가 골재내부에 물이 100%포화되어 있고 골재표면에는 물이 전혀 없는 표면건조내부포화상태(=표건상태)로 계산된 양입니다. 현장골재의 함수상태에 따라서 시방배합에서 계산된 단위수량을 보정해줘야 합니다.

 

2. 문제에서 주어진 표에서 현장 잔골재의 표면수율은 3%이므로 현장 잔골재의 함수상태는 습윤상태입니다. 그러므로 입도에 대한 조정에 의해 계산된 X=652.13kg/m^3의 3%인 표면수가 달라붙어 있으므로 현장 잔골재의 표면수량은 652.13*(3/100)=19.56kg/m^3가 되며, 이 만큼 시방배합에서 계산된 단위수량보다 물을 덜 넣어야 합니다.

 

3. 문제에서 주어진 표에서 현장 굵은골재의 표면수율은 -1%이므로 현장 굵은골재의 함수상태는 공기중건조상태(=기건상태)입니다. 그러므로 입도에 대한 조정에 의해 계산된 Y=1197.87kg/m^3의 -1%만큼 현장 굵은골재 내부에 물이 덜 채워져 있는 상태입니다. 현장 굵은골재의 내부에 비어있는 물의 양은 1197.87*(-1/100)=-11.98kg/m^3가 되며, 이 만큼(11.98kg/m^3) 시방배합에서 계산된 단위수량보다 물을 더 넣어야 현장 굵은골재가 표면건조내부포화상태(=표건상태)가 됩니다.

 

4. 보정된 단위수량 = 시방배합에서 계산된 단위수량(W) - 현장 잔골재의 표면수량 - 현장 굵은골재의 표면수량 = 165 - 19.56 -(-11.98) = 157.42kg/m^3

 

 

열공하세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