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토량환산계수
권*민2018.06.29답변완료

2016년 4회 기출문제 중 백호로 굴착하고 사토량을 구하는 문제에서

사토량을 구할 때, 되메우기량에서 압축계수 (1/C)를 곱해줬던 것처럼 굴착토량에도  곱해줘야 하는 거 아닌가요?

답변박광진2018.06.29 16:46

한솔아카데미 토목기사실기 2018년판

3권 p.3-387 06번 문제


1. 굴착토량 = 480m^3은 구속압력을 받고 있는 본바닥토량(=자연상태의 토량)입니다. 이 값에는 토량환산계수 1/C을 곱하지 않습니다.


480m^3 값 자체가 백호로 굴착한 본바닥토량(=자연상태의 토량)입니다.

 

2. 통로박스를 넣고 나머지 부분을 되메워야 하는데, 되메워야 할 부분의 토량은 구속압력보다 더 큰 다짐에너지로 다져 넣어야 할 다져진 토량(480-250 m^3)입니다.

 


이것을 본바닥토량(=자연상태의 토량)으로 환산하려면 토량환산계수 f=1/C을 곱해야 합니다.


본바닥상태의 토량으로 환산된 되메워야 할 토량 = (480-250)*(1/C) = (480-250)*(1/0.8) = 287.5m^3 입니다.

 

3. 되메우고 난 후 사토장에 버려야 하는 토량 = 480 - 287.5 = 192.5m^3 (본바닥상태의 토량)

 

4. 덤프트럭의 적재함에 실리는 흙은 구속압력이 해제된 느슨한 상태의 토량이므로 느슨한 상태의 토량을 본바닥토량으로 환산하기 위해 토량환산계수 f=1/L을 곱해서 계산합니다.

 


토공과 건설기계에 관한 문제에서는 문제에서 주어진 토량과 계산된 토량의 상태가 무슨 상태(본바닥상태, 느슨한 상태, 다져진 상태)인지 정확히 파악해서 적합한 토량환산계수를 적용해서 계산해야 합니다.

 


열공하세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