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번문제의 해설이 의문투성이 입니다.
첫번째로 타단힌지로 되어 있는 보에서 왜 양단고정의 처짐각법을 썼는지가 궁금합니다.
교재를 보면 양단고정과 일단고정타단힌지일 때의 경우가 따로 나눠져있으며
그에 대한 식또한 다르게 나와있습니다. 어째서 타단힌지의 경우의 식을 안쓰고 양단고정의 경우를 쓴 것인가요?
두번째로 타단힌지인데도 불구하고 양단고정의 FEM을 썼다는 겁니다.
하중항은 wl^2/12를 썼는데 이는 양단고정의 경우이므로
타단힌지에서는 wl^2/8을 써야하는거 아닌가요???
조금 상세하게 답변 부탁드립니다ㅠㅠㅠ
너무 이해가 안가요
안녕하세요,,,
고정단이 어느 한쪽이라도 있다면 양단고정에 대한 고정단모멘트를 적용하며 정해식을 적용하며, 이것을 일단고정타단힌지에 대한 고정단모멘트를 적용할 때는 약산식(접선각과 부재각의 적용)을 적용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정해식은 숫자가 2라는 것이 붙어 있고, 약산식은 숫자가 1.5 및 0.5라는 것이 붙어 있습니다.
더 자세한 이야기는 오히려 혼란을 가중시키므로 정해식 하나로만 해결을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