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1.
선생님 책에 함수율의 분모가 노건조상태라고 되어있는데 어느상태를 가르키는건가요 ?
토질에서 노건조면 인위적으로 완전히 건조시킨 절건을 말하는거 아닌가요?
그리고 함수율 범위가 그림의 기건함수량의 범위인 절건~습윤상태까지를 %로 나타낸건가요 ?
질문2.
기건 함수량과 유효흡수량에서 함수량과 흡수량의 차이를 잘 몰라서 외울 때 햇갈리는데 왜 절건~기건까지는 함수량이고 기건~표건까지는 함수량이아닌 흡수량으로 표현한건가요?
질문3.
그리고 이문제랑 상관없고 개인적인 질문입니다. 강의도 그렇고 책에도 1권이 지반공학이고 2권이 토목시공학으로 토공~ 토면의 물량산출까지로 나눠져있는데 공사에서 보는 시험과목이 토목시공학이 있으면 보통 2권인 토공~토면의 물량산출까지로 보면 되는건가요 ? ?
이거는 궁금해서 여쭈어봤습니다 ㅠㅠ
감사합니다 선생님 즐거운 명절보내세요^^
안녕하세요~ 홍성협입니다.
추석은 잘보내셨나요? 답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1. 노건조 상태라는건 절대건조 상태를 말합니다.
함수율의 범위는 습윤상태에서 부터 절건상태까지를 %로 나타내는겁니다!!
2. 기건함수량은 실질적으로 많이 사용되지 않습니다.
절건상태에서 기건상태가 되기위한 수량으로 생각하시면 되고요
실질적으로 자연상태에서는 절건상태가 없으므로 실질적으로 흡수할수 있는값
은 유효흡수량(표건-기건)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빠를실겁니다.!!
3. 아닙니다!! 꼭 그렇진 않습니다...
지반공학에 포함되어있는 내용도 시공학에 관련된 내용도 있습니다.
공사시험을 준비하신다면 시험에 대한 출제기준을 참고하셔서 공부하시는게 도
되실겁니다!!
시험얼마 안남았습니다. 열심히공부하시고 좋은결과 기대할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