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그 기초에 대한 문제가 나올 때 그림에서 BxL 길이가 제시되잖아요
기억이 가물가물 하긴한데 아마 학교에선 수치가 작은게 폭B라고 들었던 것 같거든여
예를들어 BxL 이 1.6x1.2 라고 나와있으면 1.2가 작으니까 1.2가 폭B가 되고 이런식으로요...
근데 과년도 문제를 풀어보니 BxL 1.6x1.2 라고 나와있으면 왼쪽이 B고 오른쪽이 L 인것 같더라구요 그냥 항상 왼쪽수치가 B 오른쪽수치가 L 고정인가요?
2. 2016년도 2회 실기 기출문제
6번 공정능력지수와 규격치에 대한 문제 질문입니다.
강의에선 그냥 5번설명하다가 7번으로 넘어가시더라구요
공정능력지수, 규격치 둘다 처음듣는 단어입니다.
그 문제에 대해서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답변 1]
직사각형기초(=장방형기초)의 두 변 중 작은값이 기초폭(B)이고, 큰 값이 기초길이(L)입니다.
한솔 토목기사실기 2018년판 p.1-196 29번 문제에서 1.6×1.2(m)에서 기초폭 B=1.2m이고, 기초길이 L=1.6m입니다. 그런데 편심의 영향을 고려한 후에는 저항력에 의미가 있는 유효폭(B')과 유효길이(L')는 모두 1.2m로 같아져 정사각형기초(=정방형기초)로 해서 극한지지력을 구하면 됩니다.
참고로 이 문제의 해설에서는 오타가 있습니다. 1.6m는 B가 아니라 L입니다.
[답변 2]
두번째 질문은 시공관련문제가 아니라 공정 및 품질관리 관련 문제이므로 담당교수님께 다시 질문하기 바랍니다.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