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동상현상이 일어나는 지반의 특징
안*훈2017.06.11답변완료

동상현상이 일어나는 지반의 특징에서 

"흙의 모세관 상승높이가 크고, 어느정도 투수성이 큰흙에서 증가한다."라고 하는데,

이말이 잘 이해가 안가요,,

 

 

흙의 모세관 상승높이가 크다는 말은 ->간극이 작다는 말이고-> 동상현상이 일어난다

투수성이 큰흙이라는 말은 ->간극이 크다는 말이고 ->동상현상이 일어난다

 

여기서 논리적인 모순이 생기는데,,  위의 말이 무슨의미인가요?

답변김창원2017.06.13 16:37

점토: 모관상승고는 가장 크나 투수성이 낮아 수분공급이 잘 되지 않아

        동상은 미미.

실트: 모관상승고와 투수성이 비교적 크므로 동상이 현저함.

조립토:

-조립토는 동해를 쉽게 받지 않음.

-모관고 작음

-간극이 비교적 크고 그 속에 있는 물이 얼 때에는 그 안에 있는 물 자체만 얼음.

 

아이스렌스:

동결선 위에 있는 흙에서 비교적 큰 간극에 물이 존재하면 인접한 더 작은 간극에서

보다 온도가 더하강하므로 이 물이 먼저 얼어 얼음의 결정을 만든다.

이 얼음덩이는 인접해 있는 간극 속의 물을 끌어 들여 결정이 더 커지며,

이와 같은 작용으로 인접한 간극 속이 비게 되면 지하 수위 아래의 물을

모관장력으로 빨아 들인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형성된 얼음의

결정을 아이스렌스라 한다. 지표면의 동상은 바로 아이스 렌스 때문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