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이러한 특강 제공해주신것에대해 감사드리며 질문한개만 하겠습니다
강의중 정도(정확도,정밀도)를 높히려면 오차를 줄여야한다는것은 말로써 이해가 됩니다
그런데 교수님께서 식으로 표현하신것처럼 정도를 오차/전체 (1/m꼴)로 보았을때에는 정도가 오차에 비례하여 나타나는것처럼 보이는데 왜그런지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정경동입니다.
음~~
얜 주어진 형태를 단순하게 썼다면 오차에 비례하겠지만 정도를 표현하는 방식이 분자를 강제로 1로 만들기 때문에 분모의 숫자로 보셔야 합니다.
그럼 오차가 커지면 분모수가 작아질 것이므로 정도는 나빠지고, 오차가 작아지면 분모수가 커질것이므로 정도는 좋아진다고 보셔야 합니다.
이해가 되시나요,
단순히 정도를 오차/전체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1/(전체/오차)의 형태로 표현하고 전체의 숫자로 정도를 판정하시면 이해하실 수 있으실 것이라 봅니다.
측량은 기하라서 그 개념만 잘 잡고, 테일러 급수전개로 유도되는 공식은 암기를 하면 간단히 해결하실 수 있답니다.
파이팅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