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균열 제어방법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심*진2017.09.11답변완료

일단 78번의 답은 '가' 이고 91번의 답은 '다' 입니다~

 

78번의 나 보기는 답이 될 수 없는 건지 궁금합니다.

균열의 폭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저강도 철근을 사용 하는 것인데..

78번의 나 보기는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아니지 않나요??

답변정경동2017.09.21 19:17

안녕하세요. 정경동입니다.

 

균열폭은 철근의 항복강도가 클수록 커지게 됩니다

.
90년대 중반까지는 철근의 항복강도가 300MPa 이하인 경우는 균열을 무시하고, 300MPa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균열폭 계산을 하였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보아도 철근의 항복강도가 클수록 균열폭이 커진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고강도 철근의 개발이 이루어지는 90년대 후반부터 균열에 대한 문제가 생기기 시작합니다.


대형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단면의 감소가 필요하므로 고강도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위의 문제는 보기의 지문 중 가장 적합하지 않은 걸 찾는 문제로 보시면 됩니다.


그럼 ①, ②가 대상이 되지만 ②는 현실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①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결론적으로 이 문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므로 둘 모두 틀린 표현으로 잡으시고, 굳이 하나를 찾으라면 현실과 동떨어진 ①을 선택하세요.


열공하세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