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준측량 배울때에는 경중률은 횟수에 비례하고 오차의 제곱에 반비례한다고 배웠었는데요... 그러면 결국엔 경중률은 오차의 제곱에 반비례 하게 되는데
2016년 토목기사 필기 측량학 교재 129p 핵심문제 10번 동영상 강의 보면서 풀어주신걸 보니 각측량에서는 경중률(횟수와 비례)은 수준측량과 달리 오차의 제곱과 반비례가 아니라 그냥 오차와 반비례하는 건가요?...
비례식을 세우는데 36" 라는 오차각을 경중률을 주어서 분배해주어야 되는데 수준측량에서는 오차는 경중률의 제곱근에 반비례 하는데 동영상 풀이에서는 오차는 경중률에 반비례한다고 되잇어서요... 헷갈리네요. 각측량에서 오차는 그냥 제곱을 생각하지 않고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측량학 강의를 담당하고 있는 고길용입니다.
좋은 질문 감사드리고 일반적으로 오차의 제곱이라고 하는 것은 최소자승법의 원리로 적용하는 오차이므로 부정오차를 뜻합니다. 하지만 정오차는 크고 작음 이 명확하므로 부호의 개념이 정해져있으므로 제곱을 하지 않아도 부호가 정해지므로 분의1로 처리하여 경중률을 따집니다. 따라서 8번 문제는 부정오차로 처리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