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문제의 해설을 보니 내민보를 공액보로 두번치환해서, 그 이유가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확인차 질문드립니다.
내민보를 첫번째 공액보로 치환 했을때, A점의 처짐을 계산하려면, 반력과 그에 따른 휨모멘트를 계산해야하는데, A 같은 경우는 힌지절점 두개 사이에 있기때문에, 반력을 구할수 없어, 반력을 구하기 위한 두번째 공액보로 치환한것 같은데 혹시 맞나요?
공액보를 두번 치환한 경우는 처음 보는것 같은데, 그냥 공액보는 어떤점의 처짐이나 처짐각을 구하기 위해서 계속해서 만들어낼수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공액보라는 것이 연속해서 만들 수 있는 개념은 분명히 아닙니다.
해설의 두번째 그림이 탄성하중도를 적용한 공액보입니다.
좌측의 고정단과 왼쪽의 힌지절점, 힌지절점과 힌지절점의 구간, 우측의 힌지절점과 우측의 고정단으로 공액보가 만들어 졌다면 두개의 캔틸레버보와 한개의 단순보를 분리해서 계산하자는 의미 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