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준
2023.11.08 01:10
강의를 보고 다시 정리해보니 흙은 물이 없으면 건조토 물이 공극이 약간이라도 있으면 습윤토 공극에 물이 가득차 있을경우는 포화토라고 생각하고 포화토가 물로 가득찼을때의 흙인데 당연히 지하수면 아래에 있는 흙들은 공극이 다 물로 채워져 있으니 포화토이고 이중 흙과 물의 단위중량을 포화단위중량 포화토중에서도 흙만의 단위중량을 수중단위중량 이렇게 생각한게 맞을까요 교수님??
강의를 보고 다시 정리해보니 흙은 물이 없으면 건조토 물이 공극이 약간이라도 있으면 습윤토 공극에 물이 가득차 있을경우는 포화토라고 생각하고 포화토가 물로 가득찼을때의 흙인데 당연히 지하수면 아래에 있는 흙들은 공극이 다 물로 채워져 있으니 포화토이고 이중 흙과 물의 단위중량을 포화단위중량 포화토중에서도 흙만의 단위중량을 수중단위중량 이렇게 생각한게 맞을까요 교수님??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