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학습게시판 > 합격수기
제목 | ||||||||||||
---|---|---|---|---|---|---|---|---|---|---|---|---|
글쓴이 | 이*기 | 등록일 | 2021.06.09 | 조회수 | 933 | |||||||
안녕하세요, 금번 토목기사 1회 시험을 합격한 수강생 이창기입니다. 토목공학과에 재학중이고 4-1학기 직전 겨울방학에 필기, 학기중에 학업을 병행하며 실기 시험을 준비했습니다. 필기와 실기를 나누어 합격 수기를 적어보겠습니다.
<필기> : 02.01 ~ 03.07 (약 5주) 저는 파란색 이론책과 블랙박스 이 두 가지 책을 가지고 공부를 진행했습니다.
응용역학, 철근콘크리트, 수리학 및 수문학은 학과 공부를 통해 베이스가 잡혀있어서 파란색 이론책에서 약하다고 생각되는 부분만 공부하며 약 2주정도의 기간을 소요했습니다.
3주차부터는 베이스가 부족한 토질역학과 배워보지 않은 측량학, 상하수도공학을 공부했습니다. 이 때 설날이 겹쳐 공부시간을 많이 확보하지 못했고 이론 수업을 다 듣기엔 시간이 부족하다 판단하여 블랙박스 책을 이용해서 공부를 했습니다. 이 세 과목은 블랙박스 3회독 및 기출 3개년 오답정리를 진행하고 이렇게 2주를 소요했습니다.
마지막 1주일은 첫 2주간 공부했던 과목들의 기출 3개년 회독 및 나머지 3개 과목 복습에 중점을 두고 최종 정리를 하였습니다. 파란 이론서 뒷부분의 부록 및 블랙박스 책을 이용하여 마지막 3일간 공식 및 이론을 정리한 것이 효과가 좋았습니다.
필기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응용역학 : 70 측량학 : 80 수리수문학 : 55 철근콘크리트 : 90 토질및기초 : 70 상하수도공학 : 70
마지막 1주일을 제외하고는 방학기간이었기 때문에 온전히 이 시험에 집중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학기중이나 다른 일을 병행해야 한다면 충분한 시간을 두고 파란색 이론서 강의를 다 보신 후에 기출문제 풀이 및 블랙박스로 정리를 하신다면 합격에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자신합니다.
응용역학 : 이론 강의를 다 듣고 문제까지 다 푼 유일한 과목입니다. 교수님이 알려주시는 대로 따라가시면 문제푸는데 어려움은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제일 집중이 잘 된 강의였습니다.
측량학 : 블랙박스 및 기출문제로만 정리하였습니다. 가장 자신 없던 과목이었지만 약간의 운이 따라 좋은 결과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암기에 자신이 있다면 부담없이 공부할 수 있는 과목이기도 합니다.
수리학 및 수문학 : 수리학은 강의를 통해 원리와 공식을 숙지하면 충분히 푸실 수 있습니다. 수문학은 내용이 부담스럽지 않아 기출문제 분석 및 암기를 잘 하시면 좋은 점수 받으실 수 있습니다.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 직전학기에 학교에서 배운 과목이라 가볍게 공부했습니다. 문제가 정형화되어있기 때문에 반복 연습을 통해 충분히 숙련도를 올릴 수 있는 과목입니다.
토질 및 기초 : 개인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과목입니다. 하지만 실기 시험에도 다시 나오는 과목이므로 여기서 탄탄하게 준비해두시면 실기 과목 준비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는 그렇지 못해서 실기에서도 이 과목에 많은 시간을 쏟았습니다...
상하수도공학 : 블랙박스 및 기출문제로 정리한 과목입니다. 특히 블랙박스의 이상도 교수님 강의가 간단 명료해서 빠르게 한바퀴를 돌릴 수 있는게 장점입니다. 어렵게 생각하면 어려운 과목이지만 또 쉽게 생각하면 한없이 쉬운 과목이므로 긍정적인 마인드로 기출과 블랙박스를 분석하시면 좋겠습니다. 연습보다 시험에서 마음이 편했던 유일한 과목입니다.
<실기> : 03.22 ~ 04.25 (약 5주) 1주차 : 물량산출, 공정관리 2~3주차 : 토목시공학 - 계산문제 4~5주차 : 물량산출, 공정관리, 계산문제 복습 및 말따먹기 공부
물량산출, 공정관리는 생소하시겠지만 강의를 따라서 연습하다보면 금방 감을 잡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하루에 한~두문제씩 연습하면 실전에서도 크게 어려움이 없으실 것입니다.
계산문제들은 5개년 이상 기출문제를 푸시면 어느정도 정형화되어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꾸준히 연습하여 대부분의 문제를 풀 수 있도록 대비하시는게 좋습니다. 저는 2주정도 되는 기간동안 벼락치기로 공부한 탓에 실전에서는 기출에서 살짝 비튼 문제가 나왔는데 제대로 풀지 못했습니다. 시공학과 토질역학 계산 문제는 철저히 대비하셔서 무조건 챙긴다는 생각으로 준비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시공학의 말따먹기 부분에서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았습니다. 암기는 누가 도와주는게 아니기 때문에 시간을 많이 투자하셔야 합니다. 앞에 물량산출 및 공정관리, 계산문제를 다 풀어도 말따먹기 문제를 많이 챙기지 못한다면 합격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저는 직접 정리하는 시간이 아까워 인터넷을 통해 남이 정리해둔 자료를 보고 공부했습니다. 암기는 답이 없습니다. 무조건 틈틈이 자주 보고 외우시기 바랍니다.
공부할 때는 토목기사가 높은 벽으로 느껴졌지만 지나고 보니 생각보다 할만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필기, 실기 공통적으로 했던 후회는 1주일만 더 일찍 시작할걸 이라는 생각이었습니다. 돌이켜보면 난이도보다는 광범위한 분량에 부담을 느꼈던 것 같습니다. 시간은 생각보다 빨리 지나고 계획대로 공부가 진행되기가 쉽지만은 않습니다. 일찍이 체계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지키셔서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가시면 큰 부담 없이 합격이라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양질의 강의를 제공해주신 한솔아카데미 교수님들께 감사하다고 인사 드리며 합격수기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전글 | [합격동영상수기] 2021년 제1회 토목기사 최종합격 |
---|---|
다음글 | [합격동영상수기] 2021년 제1회 토목기사 최종합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