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점성 흙의 입자구성 중 봉소구조에 실트,점토가 언급되는 데
그러면 실트, 점토도 비점성 흙이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실트 점토는 당연히 점성토라고 생각했는데 비점성 흙의 입자구성에 들어있으니 혼란스럽습니다

4번에서 단입구조가 여러번 나오는데(물론 한자가 달라서 둘이 다른 의미라는 것은 압니다)
단립구조는 비점성 흙의 입자구성에서만 언급이 되는 데 다른 하나의 단입구조는 어디서 나오는 지, 어떤 개념인 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같은 페이지의 2번 해설에서
1.단립구조는 조립토가 물 속에 침강할 때 생기는 구조
2.단립구조에는 봉소구조, 면모구조, 분산구조가 있다.
2가지 단립구조에 대해 언급되어 있습니다.
그러면 비점성 흙의 입자구성에서 단립구조와 봉소구조가 언급되어 있는데 위의 설명에 따르면 그냥 단립구조와 봉소구조 모두 단립구조인건가요?
그렇다면 2번 문제에서 점성토의 면모구조, 분산구조도 단립구조에 해당하는 데 2번의 (라)보기도(한자표기 없음) 옳은 보기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