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절점이 직교 좌표의 원점이다]라고 원칙을 세우시면 간편합니다.
오직 절점에서만 수평평형, 수직평형 해석을 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2) ㅗ 형태의 교차 절점에 수직하중이 작용하면 수직부재는 부재력이 생기고, 수직하중이 없다면 수직부재는 0부재가 됩니다.
나란한 두개의 수평부재는 좌측부재가 인장이면 우측부재도 인장이고, 좌측부재가 압축이면 우측부재도 압축이며, 좌측부재가 0이라면 우측부재도 0입니다.
결국 수평의 두개의 부재는 미지(未知)의 상태라는 것입니다.
(3) ㄴ의 교차점에 수평하중 만큼의 부재력이 수평부재에 발생하고, 수직하중 만큼의 부재력이 수직부재에 발생됩니다.
ㄴ 부재에 대각부재가 연결되면 수평평형, 수직평형 두개의 조건식을 써서 연립방정식의 형태로 3개의 부재들의 부재력을 계산하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