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유달시간 추가질문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토목(산업)기사필기 시리즈 종합반 > 노재식
글쓴이 박*한 등록일 2019.04.24 답변상태 답변완료
  • 선생님 질문한 내용 잘 이해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그런데 딱 한가지만 더 질문드리고 싶어서 글남깁니다 ~

     형상계수가 작으면 유달시간이 작아지잖아요 ? 그럼 형상계수가 작아질수록 지체현상은 줄어드는게 맞는말인가요 ??

    ( T>t(강우지속시간) 이면 지체시간이 발생하는데 형상계수가 작아지면 T가 작아지니 지체현상이 줄어든다고 생각하였습니다)

     

    PS) 이전 질문에서 전도현상으로 인한 여름의 취수 위치 관련 문제가  2019 한솔아카데미 7개년 기출책이었는데 문제가 잘못되어있어서 이해가 안갔었는데 선생님 설명으로 안해서 완벽히 해결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 노재식 |(2019.04.24 18:25)

    토목기사 "필기종합반(온라인 강의)" 상하수도공학을 담당한 노재식입니다. 

    1. 유달시간(T) : "도달시간"으로 표현되며 지표면 경사(S), 지표면 길이(L), 유출계수(C),Manning의 조도계수(n) 등의 영향을 받습니다.  

    2. 형상계수(F) : 유역의 형상은 수지상, 방사상, 평행상, 복합상 등 다양한 종류의 복잡한 특성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수단이  유역형상계수입니다. 

    ♣ 하천설계기준 : 정사각형 유역  F=1, 원형 유역  F=0.8,  방사상 유역  F= 0.1

     일반적으로 "상하로 이 좁고  좌우로 길이가 긴 유역은  유역형상계수가 작아  유달시간은 작아짐(짧아짐)". 

    3. 지체현상 : 강우지속시간(t)과의 관계[유달시간(T)>강우지속시간(t)]에 따라 발생되며, 다양하고 복잡한 특성을 가진 유역형상계수와 직접 관련시켜 단정적으로 설명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관점에서 유역형상계수가 작으면(F<1)  유달시간이 작아지고(짧아지고), 지체현상은 줄어드는 것으로 간주해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