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수리수문학 질문있습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수리학 및 수문학 > 한웅규
글쓴이 김*은 등록일 2021.01.28 답변상태 답변완료
  • 1. p31 9번

    곡면에 작용하는 전수압은 곡면을 밑면으로 하는 연직 물기둥의 무게와 같은데 그러면 사진의 빗금친 부분을 면적으로 하는건가요?? 3x6xcos30도는 무엇을 빼준건지 모르겠습니다

    2. p54 77번

    hG는 수면으로부터 물체도심까지의 깊이로 30cm/2=15cm라고 생각했는데 30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3. p60 114번

    hG를 구할 때 3/2+(4x3^3/12)/(1.5x4x3)를 하면 2m가 나오는데 1m가 어떻게 해야 나오는지 잘 모르겠니다... 그리고 힌지점이 있어서 삼각형 분포가 나오는 것도 아닌데 해설에 h/3은 어떻게 나왔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4. p62 129번

    AB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P1과 P2를 그려보면 P1은 작용점이 수면으로부터 1m, P2는 0.5m가 나옵니다. 제가 그린 모멘트 점과 작용점이 틀린 것 같습니다 P와 P1과 P2가 각각 어디에 그려져야 하나요...?

    5. p65 145번

    계기압력=수압+대기압력으로 1033+300으로 풀었는데 왜 대기압에서 300을 빼주는지 모르겠습니다

    6. p72 14번

    6장 개수로 부분의 hc식을 통해 에너지보정계수를 이용하여 곱하는 방법은 알겠습니다!

    하지만 프로이드수를 이용하는 식에서도 에너지보정계수를 곱해줘야 되나요??

    Fr공식 사용할 때 에너지보정계수가 문제에 있으면 그냥 곱하면 되고 없으면 안곱하면 되는건가요??

    7. p177 9번

    라.지문이 맞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난류가 되려면 4000이 기준 아닌가요??

    많은 질문인데 감사드립니다!!!

  • 한웅규 |(2021.01.29 13:31)

    안녕하십니까 수리수문학을 강의하고 있는 한웅규입니다.

     

    1. 부채꼴 면적에서 삼각형 OPQ의 면적(6×6cos30×1/2)을 빼주어야 합니다.

     

    2. 문제조건에 그릇에 저면에 작용하는 다시 말해 밑바닥이 받는 전수압을 구하는 것이므로 hG가 아닌 h를 대입해서 풀이해야 합니다.

     

    3. 문제그림을 보면 작용점의 수심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수면에서 작용점의 수심을 뺀 값(yo)를 구하는 것이므로 3-(3×2/3)=1m가 되겠습니다.

     

    4. ㄱ에 해당하는 도심에서 AB까지의 거리는 0.5m, ㄴ에 해당하는 도심에서 AB까지의 거리는 1.5m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5. 절대압력은 대기압+계기압력(수압)이므로 A지점이 수면에 위치하므로 1기압(표준기압)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D지점의 절대압력은 A지점의 표준기압(1033g/cm2)에서 수압은 수심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므로 수심 3m(300cm)에 해당하는 수압을 빼주면 되겠습니다. 

     

    6. 일반적으로 에너지보정계수는 조건에 주어지면 곱하시면 되겠습니다.

     

    7. 개수로에서의 레이놀드수는 500을 기준으로 하여 500보다 작으면 층류, 500보다 크면 난류로 산정하며 관수로에서의 레이놀드수는 2000보다 작거나 같으면 층류, 4000보다 크면 난류가 되겠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