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번에 질문 올렸던 학생입니다!다름이 아니라 저번에 올린 질문에 "B점의 처지각을 생각해보시면 M에의해서는 반시계방향으로 재료의 처짐각이 발생하지만 M/2에 의해서는 B점이 시계방향으로 처짐각이 발생하게 되므로 두값이 더해지는게 아니라 빼져야 하겠지요"이렇게 답변해주셨는데 제가 이해가 잘 안되는 부분은 A점에 B에의해 발생하는 모멘트도 반시계 방향으로 M/2이면 B점에 반시계방향으로 처짐각이 발생하지 않나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이 2번째 사진은 1단계 개념설명에서 풀어주신 문제인데 제가 생각한대로 이문제와 같은 경우 부호를 똑같이 -,-로 계산해서 둘을 합쳐줬는데 첫번째 문제는 왜 +,-로 바뀌는지를 모르겠습니다. 다시한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고길용 |(2022.01.24 11:04)
안녕하세요~ 고길용입니다.
A점을 잡고 반시계 방향으로 재료를 돌리면 B은 위로 들릴려는 즉, 시계방향의 처짐각을 보이게 됩니다.
반력 모멘트는 전달되면 반대로, 외력모멘트는 전달되면 방향이 그대로 전달되는 부분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모멘트 분배법의 원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