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토목기사 필기 2017년도 4회차 38번문제, 18년도 2회차 34번 문제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2022]토목기사 프리패스반(6개월) > 고길용
글쓴이 문*기 등록일 2022.03.01 답변상태 답변완료
  • 38번 문제에서

    오차를 배분할 때 노선거리에 비례해서 배분을 한다는 개념은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이유가 경중률이 노선거리에 반비례하기 때문 아닌가요?

    38번 문제에서 경중률이 모두 동일하다고 언급을 해주었는데

    이런 경우에는 조정량을 모두 동일하게 가져가야 하는 것 아닌지 궁금합니다.

     

    34번 문제에서는 부정오차이기 때문에 제곱해서 더해준후 루트를 씌어주었는데 이 때는 오차나 노선거리에 따른 경중률은 따로 고려해주지 않아도 되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 고길용 |(2022.03.02 10:22)

    안녕하세요~ 고길용입니다.

    먼저 구분하셔야 될부분은 최확치를 결정한다는 것은 동일한 값을 측정했는데 값(표고)가 다 다르므로 경중률을 따져서 결정을 하는것이고 첫문제는 노선거리가 주어졌으므로 경중률은 노선거리에 반비례한다는 것으로 경중률을 고려하여 최확치를 결정하였습니다.

    두번째 문제는 동일한 값(거리를 구간별로 나누어 측량)을 구한것이 아니라 구간별로 구했고 부정오차가 구간별로 주어졌으므로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총 부정오차를 구하는 거것입니다. 최확치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고요~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