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응용역학 p.84 21번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2022]대학생 프리패스반(토목기사) > 안광호
글쓴이 김*혁 등록일 2022.09.14 답변상태 답변완료
  • 풀이로 모멘트는 0이다 식으로 보면 이해가 가겠습니다.

    하지만 나눠먹기 식으로 짤라 들어가보면, 1) 240에 대한 CD보 먼저 해석. 2) AD에 대한 캔틸래버 보 해석 3) BD먼저 해석 이런식으로 들어가서 B의 수직반력이 120이 되야하는 것이 아닌가요? (사진 물음표 부분) 3가지 힘이 있으면 나눠먹기 식이 아닌 모멘트가 편하다는 것은 알겠으나, 이 문제는 하나의 힘밖에 없으니 썼는데 해석이 안되서 이렇게 여쭤봅니다.

  • 안광호 |(2022.09.19 17:50)

    안녕하세요,,,

    (1) DC 불완전 단순보구간의 중앙에 240kN의 집중하중이 작용하므로 C지점과 D절점은 상향의 120kN의 수직반력이 형성됩니다. 그런데 C지점은 이동지점이므로 반력이 형성되는 곳이지만 D절점은 지점이 아니므로 상향으로 계산된 120kN의 힘을 ABD 내민보의 자유단 D점에 하향으로 120kN을 건네줍니다.

    (2) BD 캔틸레버 구간의 D점에 하향의 120kN이 작용하므로 B점에서는 상향의 120kN의 수직반력이 형성되자마자 120kN * 2m =240kN.m의 시계방향 회전력이 발생되는 상황입니다. 이것을 이동지점 B에서 해결할 수 없으므로 AB단순보에 건네줍니다.

    (3) AB 단순보의 B점에 시계방향 회전력 240kN.m가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A지점과 B지점의 수직반력이 우력이 되어 반시계회전력 240kN.m를 만들어내야 합니다. A지점과 B지점의 거리가 6m이므로 A지점 수직반력은 하향의 40kN, B지점 수직반력은 상향의 40kN이 형성됩니다.

     

    최종적으로 B지점의 수직반력은 (2)에 의한 상향의 120kN과 (3)에 의한 상향의 40kN이 중첩되어 160kN의 상향의 수직반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설명이 굉장히 긴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 구조해석의 순서가 몸에 익혀지면 그리 오래 걸리지 않게 되므로 반복적인 훈련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