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응용역학 개념 질문있습니다.
질문유형 학원강의 > 2025년 1회대비 토목(산업)기사 필기 동계특강반 > 안광호
글쓴이 김*훈 등록일 2025.01.24 답변상태 답변완료
  • 휨강도는 분모인 단면계수가 커질수록 휨에 대한 강도가 커진다고 160p 49번에 답이 나와있습니다. 따라서 휨응력이랑 휨강도는 반비례한다고 정리가 되는데

    제가 수업시간에 이해하기로는 비틀림 전단응력에서 중실,중공에 대해서 공부할 때 분모인 극모멘트가 작은 중공이 1.15로 전단응력이 더 큰데 전단강도가 중공이 더 좋다고 이해를 헤서 전단강도랑 전단응력이랑 같은 말이라고 이해했었는데

    뭐가 맞을까요?

  • 안광호 |(2025.01.24 19:22)

    안녕하세요,,,

    휨응력(Stress)은 면적당의 힘입니다.

    사람도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좋지 않은 것처럼, 구조물의 입장에서 스트레스가 많이 걸리면 좋지 않은 상황이라는 의미가 될 것입니다.

    응력의 최대값을 강도(Strength)라고 하며 파괴되는 순간의 응력 즉, 응력의 최대값을 말합니다. 

    휨응력 M*y / I 를 M/Z 라고 표현하면 Z는 단면계수가 되며 최대휨응력 즉, 휨강도 상태가 됩니다. 

    동일한 휨모멘트 M을 받을 때 단면계수가 크면 휨강도는 작아지고, 단면계수가 작다면 휨강도는 커지게 되겠습니다.

    이것을 휨모멘트에 대해 누가 더 강하냐고 할 때는 누가 더 잘 저항하느냐의 의미가 되므로 비례, 반비례의 개념이 아닌 단면계수 Z 자체를 비교하는 것이 됩니다.

    폭은 같은데 높이가 100mm인 재료와 200mm인 재료는 누가 더 휨에 강하냐고 묻는다면 당연히 높이가 큰 200mm인 재료가 휨에 대해 더 강하다고 답할 것입니다.

     

    모든 응력과 강도의 개념은 위와 같습니다.

    따라서 비틀림전단응력과 비틀림전단강도 또한 같은 의미로 해석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