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향침투 개념에 대해서 교수님은 파이프가 하나짜리인 시료로 설명하셨고, 교재에는 파이프가 3개가 있어서 혼동이 오는 것이 있는데 차례대로 번호로 질문드리겠습니다. 질문이 좀 많아서 죄송하지만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 혹시 제 질문이 이해가 안되시는 부분이 있으면 다시 올리겠습니다
1. 교수님의 강의에서는 i(동수경사) = Δh/h 라고 설명해주셨는데, 교재의 그림에 대입시키면 교수님이 파이프 하나짜리인 시료를 예시를 들어준 부분의 Δh(지하수면과 파이프의 수두차)값을 h로, h(토층의 두께)를 H2 로 표현문자가 바뀐것이고, 제가 첫번째로 올린 사진 기준으로 동수경사는 h/H2 라는 식으로 일정한 수식으로 나타낼수 있지만 실제론 상향침투가 일어나기 때문에 동수경사는 h가 줄어들고 H2 는 늘어나기 때문에 동수경사값은 점점 감소하는 중이라고 생각해도 될까요?
2. 동수경사는 지점마다 다른게 아니고 토층의 모든 곳에서 h/H2 값을 가지는게 맞을까요?
2.5 (질문을 다 작성하고 계속 고민하다가 중간에 질문합니다) 결론적으로 놓고보면 토층 임의의 길이 z에 대하여 교재의 공식은 맞는거같은데, 제가 첫번째로 올린 사진에서 z값이 토층의 임의의 길이인지 아니면 A 지점에서 C지점까지의 길이만 의미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이 때문에 3번,4번 질문을 하게된것같습니다. 첫번째 사진에서 z는 임의의 길이인가요, A지점에서 C지점까지의 거리만을 의미하나요?
3. 첫번째 사진은 한솔교재인데 두번째 파이프의 지하수면으로부터의 높이는 동수경사값인 h/H2 만큼 차이나는데, 두번째 파이프의 지하수면으로부터의 높이는 동수경사식과 같은 값을 가진다고 생각해도 될까요?
4. 3번질문이랑 관련된 질문인데, 첫번째 사진에서 z와 h/H2 가 같다고 표시되어 있는데, 이때, z는 토층내 임의의 길이가 아닌 A에서 두번째파이프가 연결되는 C까지의 길이를 뜻하는게 맞나요? 그리고 맞다면 이때의 z값은 동수경사, 두번째 파이프의 지하수면으로부터 높이가 모두 같다고 생각해도 되나요?
5. 첫번째 사진을 기준으로 침투수압 F=iγwz 라고 배웠는데, 이때 z는 A에서 두번째 파이프가 연결된 C지점까지의 값뿐만 의미하는게 아니라 0~H2 중 임의의 값에 전부 성립한다고 생각해도 되나요?
6. 교수님이 깊이 z일때 유효응력 구하는 법을 유효응력에 침투수압을 빼는 방법으로 설명만 해주셨는데 두번째로 올린 사진에서는 두번쨰 파이프의 수두차 값을 압력수두에 포함하여 구한거 같은데 동그라미친 z값이 어떻게 나왔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7. 제가 세번째로 올린 사진은 개인적으로 구매한 교재인데, 이 교재에서는 두번째 파이프의 수두차를 Δh라고 해놓고 침투수압을 구할때 동수경사값으로 Δh/H2 라고 표현했는데 책이 오류인가요? 아니면 한솔교재는 간극수압을 구할때 압력수두에 포함시키는 반면, 제 개인적 교재는 침투수압으로서 따로 값을 계산해서 그런건가요?
8. 첫번째 그림에서 h는 첫번째 파이프로부터 수두차가 아닌 지하수면 기준으로 높이가 맞는거죠? 지하수면과 첫번째 파이프 물의 수두가 똑같이 그려져서 헷갈리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