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점성 흙의 입자구성에서
2가지의 구조가 소개되었는데, 붕소구조에 실트, 점토가~ 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이 파트는 비접성 흙의 입자구성을 설명하는데 실트, 점토가 나와서 궁금한 마음이 들어 문의합니다. 실트, 점토가 비점성 흙으로 분류될 수 있나요?


비점성 흙의 입자구성에서 단립구조와 붕소구조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핵심문제를 다루는 6페이지에서 2번 해설, 4번 해설에서 여러 단립구조를 설명하고 있는데 이 설명을 보면 점성토의 구조에도 단립구조가 있는 것 처럼 보입니다.
2번 문제 해설에서 "단립 구조는 조립토가 물 속에 침강할 때 생긱는 구조이다" 라는 설명은 4페이지에서 설명하고 있는 내용임을 알겠습니다. 그러나 다음 문장에서 "단립구조에는 봉소구조(비점성), 면모구조, 분산구조가 있다" 라는 표현은 점성토의 구조인 면모, 분산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비점성 흙이나 점성 흙 모두가 같은 단립 구조를 가지고 있는 말일까요?
4번의 1번 보기에서 흙의 구조는 단입구조와 단입구조로 나눈다 라는 표현을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표현은 이전에 학습한 단립/붕소, 면모,분산에 대한 분류를 헷갈리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