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1장 비점성 흙의 입자구성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토질 및 기초 > 박광진
글쓴이 선*정 등록일 2025.09.29 답변상태 답변완료
  • 비점성 흙의 입자구성에서

    2가지의 구조가 소개되었는데, 붕소구조에 실트, 점토가~ 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이 파트는 비접성 흙의 입자구성을 설명하는데 실트, 점토가 나와서 궁금한 마음이 들어 문의합니다. 실트, 점토가 비점성 흙으로 분류될 수 있나요?

     

    비점성 흙의 입자구성에서 단립구조와 붕소구조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핵심문제를 다루는 6페이지에서 2번 해설, 4번 해설에서 여러 단립구조를 설명하고 있는데 이 설명을 보면 점성토의 구조에도 단립구조가 있는 것 처럼 보입니다.

    2번 문제 해설에서 "단립 구조는 조립토가 물 속에 침강할 때 생긱는 구조이다" 라는 설명은 4페이지에서 설명하고 있는 내용임을 알겠습니다. 그러나 다음 문장에서 "단립구조에는 봉소구조(비점성), 면모구조, 분산구조가 있다" 라는 표현은 점성토의 구조인 면모, 분산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비점성 흙이나 점성 흙 모두가 같은 단립 구조를 가지고 있는 말일까요? 

    4번의 1번 보기에서 흙의 구조는 단입구조와 단입구조로 나눈다 라는 표현을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표현은 이전에 학습한 단립/붕소, 면모,분산에 대한 분류를 헷갈리게 합니다. 

  • 박광진 |(2025.09.29 10:45)

    실트나 점토는 점착력이 있는 흙으로 비점성흙이 아닙니다.

     

    실트나 점토가 물 속에 침강할 때 비점성흙이 가지는 봉소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교재에서는 비점성흙의 구조의 표에 적어 놓은 것입니다.

     

    토목기사사필기시험에서 흙의 구조에 대해서는 자주 출제되지 않는 내용이므로 님처럼 자세하게 정리하지 않아도 됩니다.

     

    2000년 이전 문제는 정리하지 않아도 됩니다. 최근 기출문제 위주로 정리하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