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흙의 밀도 시험에서 2번과 3번을 어떻게 값을 도출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특정 온도에 따른 증류수의 밀도를 암기하고 있어야 하는 걸까요? 시험에서 밀도 표를 제공하나요? 일단 이 문제의 경우에는 증류수 밀도 표는 없었고 위에 나와있는 표에서 문제 부분만 빈칸 처리 되어있었습니다.

분명 투수 계수를 구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비례식이 2가지여서 더 편한 방법으로 적용했는 데 답이 다르게 나와서 당황했습니다.(오른편에 샤프로 적은 식을 사용하고 싶은 데 해설과 다른 답이 나옵니다) e1=1(공극비 측정 시), e2=0.5(다짐 후 공극비)가 아닌걸까요?
문제 유형에 따라서 특정 비례식을 사용해야 할까요? k2=k1*(e2/e1)^2 로 구한 k2 값과 e^3/1+e 식을 사용한 k2값이 달라서 문의합니다.

각도를 처리할 때 계산기에서 시분초 처리를 하지 않고 계산해도 채점에 영향이 가지 않는 지 궁금합니다. 시분초 처리 할때와 안할때의 값이 미세하게 차이 나서 최종 결과값 시분초 처리한 값과 달라도 인정이 되는 지 궁금합니다.
예시는 오른 위편에 샤프로 적은 식입니다. 이 식을 계산했을 때 19.47,,, 나오는데 이를 시분초 처리하면 19시27초16.39초가 나옵니다. 이 두 각도를 가지고 나머지 풀이를 하면 결과값에 차이가 발생해서 불안합니다. 문제에서는 초 단위에서 소수점 뒤를 없앴는데 이런 식으로 임의로 소수점 처리를 해도 되나요?

압밀계수 구하는 루트t법에 대해 문의합니다.
초기직선의 가로거리를 1.15배한 직선을 그어야 하는데 이때 초기직선의 가로거리를 어디서부터 어디까지로 산정하는 지 모르겠습니다.
초기직선이 가로축에 닿는 경과시간 값 8.1을 가로거리로 생각하고 8.1*1.15를 했는데 그래프와 전혀다른 값이 나옵니다.
어떤 길이를 1.15배 해야 할까요? 초기직선의 가로거리를 1.15배한 직선을 그리는 법을 알려주세요


영공기 간극곡선을 그릴 때 포화도가 필요한데 문제에서는 포화도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영공기 간극상태의 건조밀도를 계산할 때 s=100으로 설정했는 지 궁금합니다.
지지력계수 k30=2.2k75=1.3k40
이 부분에 해당하는 강의 순서를 알고 싶습니다. 분명 강의에서 들은 내용같은데 책에서 해당 내용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