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1) 첫번째 사진 문제에서는 광정위어라고 하여 해설을 하였습니다. 개념에서 광정위어는 수심에 비해 폭이 대단히 넓은 위어라고 되어있는데 수심이 깊은지 낮은지를 모르니깐 조건이 부족이 부족한거 아닌가요? 문제에서 광정위어라는 언급이 있어야하는데 빠진건가요? 어떠한 조건을 보고 광정위어라는 것을 알수 있는지 궁금합니다.(두번째 사진은 제가 생각하는 3가지 경우를 첨부하였습니다)
질문2) 첫번째 사진의 문제는 두번째 사진에서 case2의 경우로 보고 수심에 비해 폭이 넓다라고 보고 해설을 한거 같습니다. 그런데 세번째 사진의 17번 문제에서는 첫번째 사진의 위어길이(30m)보다 60m가 더 긴 90m인 길이인데 왜 광정위어가 아닌 일반형 위어공식을 사용하는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추가적으로 앞에 개념에서는 일반형 위어공식은 사각형일반 단면에 적용가능하다고 하였는데 문제에서는 어떠한 단면인지 주어지지않았는데 어떠한 조건으로 적용된 것인지도 알고싶습니다
한웅규 |(2021.06.26 17:49)
안녕하십니까 수리수문학을 강의하고 있는 한웅규입니다.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교재 p.117 광정위어 그림을 참고하시면 광정위어에서의 폭과 길이를 같은 개념으로 보고 있습니다.
토목(산업)기사 문제에서는 위어는 크게 Francis공식과 광정위어, 삼각위어문제가 출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