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 합격동영상수기
합격동영상수기
제목 | |||||
---|---|---|---|---|---|
글쓴이 | 김*성 | 등록일 | 2022.06.17 | 조회수 | 482 |
2022년 토목기사 합격동영상수기
제1회 토목기사 최종합격 / 수강생 : 김 * 성
안녕하세요, 2022년 1회차 토목기사 시험에 최종 합격자입니다. 저는 토목공학과 전공 학생인 4학년입니다. 3학년 2학기를 종강하고 나서 바로 토목기사 공부를 시작하였고, 혼자 공부할 자신이 없어서 주위 친구들이나 선배들한테 한솔 아카데미를 추천받아 인강을 들으며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로 필기공부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환급반을 하시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뭐 다른 강의들도 열심히 들으시겠지만 환급반을 하시면 돈도 아낄 수 있고 꼭 붙어야된다는 의지를 살려주는 것 같아서 더욱 열심히 하게 되는 느낌도 있습니다.
우선 필기책으로 ‘4주완성’ 노랭이책이 먼저 발송이 되는데 저는 공부의 요령있게 하는 방법을 잘 몰라서 그 책 앞표지 몇장만 넘기면 4주플랜/7주플랜이 있어요. 저는 7주플랜을 따라서 공부를 했습니다. 물론 학교 겨울방학때 공부하기 때문에 놀러도 가야되고 술마시러도 가야되기 때문에 완벽하게 그 스케줄을 지키진 못했지만 최대한 지키려고 노력하면서 진행을 하였습니다.
강의는 ‘기초역학’강의는 듣지않았고 ‘이론+문제’ 강의는 모두 다 들었으며, 들으면서 저만의 개념노트를 만들었습니다. 이게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나만의 개념노트를 만드는 것이 무조건 합격의 비결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게 나중에 과년도 문제를 풀 때 정말 도움이 되는데 항상 저는 과년도 문제를 풀기전 응용역학부터 ~ 상하수도까지 개념노트 한 것을 쭈욱 한번씩 읽고 시험을 보았습니다. 왜냐면 이게 과목이 많고 강의도 많다 보니까 막상 나중에 철콘넘어가기 시작하면 앞에 응용역학이나 측량이 기억이 안나기 시작해요, 막상 내가 상하수도까지 개념강의를 다 듣고 이제 과년도 풀어볼까 하면 앞에 응용역학이랑 측량학 수리학이 기억이 안나는게 백프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개념노트한 것을 과년도 풀기전에 한번 싸악 봐주면 기억도 다시 조금 살아나기도 하고 또, 과년도 반복해서 풀기시작하면 이제 모든 개념들이 머릿 속에 다 있다는 것을 느끼기 시작될 겁니다.
과년도 기출문제에 대해 말씀드리면, 14년도부터 17년까지는 플랜에 나온대로 과목별로 따로 문제를 풀었고 18년도 부터는 6과목을 다같이 실제 시험처럼 풀었습니다. 앞서 말한 공부법대로 한 결과 저는 18년도부터 시험을 볼 때 한번도 불합격은 안나왔고 평균적으로 점수가 70점 이상이 나왔습니다. 만약 이렇게 했는데도 점수가 잘 안나온다 싶으시면, 추후에 오는 ‘블랙박스’ 책이랑 강의를 추천드리는데, 다 보는 것을 추천해 드리진 않고 자주틀리는 문제의 유형들만 따로 들으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그리고 과년도 풀이강의는 틀린 문제들 위주로 보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또한 한솔홈페이지에서 필기시험보기 전에 자체적으로 모의고사를 2회인가 3회정도 진행을 하기 때문에 그것도 응시해서 필기 시험전에 보시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두 번째로, 실기공부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실기 시험은 솔직히 시간이 너무 부족합니다. 필기 시험은 겨울방학때 3개월 정도의 시간이 있어 비교적 여유로웠는데 실기 시험은 학기중에 시험을 보아야 하고 또 이번학기부터 저희학교가 대면으로 바뀌면서 더 공부할 시간이 부족했습니다. 한달반이라는 시간을 무조건 학교 강의 끝나면 바로 독서실가서 공부를 했습니다. 그래서 실기 시험공부는 요령이 무조건 필요합니다. 필기때처럼 무지성으로 공부하다간 실기 양이 너무 많기 때문에 합격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추천 공부법으론 첫 번째로, 물량산출을 먼저 공부합니다. 물량산출은 실기시험에 있어 가장 큰 점수를 차지하기 때문에 무조건 맞추어야 합격이 가능합니다. 물량산출에서 점수를 깎이게 되면 합격이 더 힘들어지기 때문에 먼저 공부를 해서 시험 전까지 반복을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두 번째로는 공정관리입니다. 공정관리도 물량산출 다음으로 점수의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이 문제도 무조건 맞추어야 합니다. 이 문제도 물량산출과 더불어 먼저 공부를 해서 시험 전까지 반복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세 번째로는 말따먹기입니다. 실기 시험에는 단답형문제들이 있습니다. 말따먹기 문제라고 지칭을 하는데 이 말따먹기의 양이 상당합니다. 수험생들이 말따먹기양이 하도 방대하고 신유형이 나오게 되면 아무것도 못하고 틀리는 문제다 보니 공부를 덜 하는 경향이 있는데 말따먹기의 점수비율도 상당하고 또한 부분점수를 주는 것이 말따먹기 문제다 보니 말따먹기 최대한 시험보기 전까지 외우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관련자료는 유투브나 기사관련카페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머지의 부분들은 과년도를 계속 풀면서 반복하며 공식 정리를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실기 책중 물량산출, 공정관리가 있는 부분만 해서 2권과 과년도가 있는 3권만 풀었습니다. 3권은 거의 3회독을 하였으며 3회독 하였을 때 평균적으로 점수가 잘나오면 80점대 못나오면 60점 후반대는 계속 나왔습니다.
강의도 물량산출과 과년도 풀이 강의만 들었고 나머지 강의와 공정관리는 학교에서 이미 배웠던 내용이라 안들었습니다. 열심히 공부를 해도 당일 시험 컨디션이 제일 중요하며, 이번 22년도 시험자체가 워낙 다 기출문제에서 나온 문제들이 많아 제가 느끼기엔 필기나 실기가 매우 쉬웠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실기시험엔 제가 너무 쉽다고 느껴 자만해서 놓친 문제들이 너무 많았기에 아슬아슬했습니다. 중요한 시험인 만큼 항상 신중하게 시험보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전글 | 2022년 1회 토목기사 최종합격 |
---|---|
다음글 | 2022년 1회 토목기사 최종합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