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저는 환경 전공자로 3학년을 마친 후 토목 쪽으로 진로를 변경해 토목기사를 준비하여 자격증을 취득한 4학년 학생입니다. 제 경험이 다른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합격 수기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 준비기간
필기: 1월부터 2월까지는 강의를 수강하며 개념이해를 중점으로 하였습니다. 남은 기간 동안 과년도 문제를 풀며 실전 감각을 익혔습니다. (총 2개월 동안 공부했습니다.)
실기: 실기 시험 준비는 1달 반 동안 여유롭게 공부했습니다.
* 비전공자로서의 어려움 극복
비전공자로서 처음 접하는 응용역학과 철근콘크리트의 이론을 완벽하게 이해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러나 한솔아카데미의 노랭이 책은 단기간 완성용으로 핵심 내용이 잘 정리되어 있어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강사님들이 단기간공부법의 맞춰 많은 꿀팁과 중요내용 중점으로 알려주셔서 더 공부하기 수월했습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이론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암기할 수 있었습니다.
* 나만의 노하우 공부방법
필기
- 공식 암기: 토목 필기는 외울 식이 많기 때문에 생각이 안 날 때마다 책을 찾아보는 것은 번거롭습니다. 그래서 과목별로 중요한 식들을 따로 정리해 두었습니다. 이 정리한 식들을 필요할 때마다 빠르게 찾아보며 공부했습니다.
- 과년도 문제 풀이: 토목 필기는 중복되는 문제들이 많이 출제되기 때문에 강의로 개념을 정리한 후 바로 과년도 문제로 넘어가 회독을 늘리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비전공자이기에 부족함을 느껴 9개년치 기출문제를 3회독 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과년도 회독이 거의 끝나갈 때쯤 평균 점수가 80~90점 정도 나오면 무난하게 통과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실제 필기시험에서 저는 85점으로 합격했습니다.
- 적극적인 학습Q&A 활용: 실기도 마찬가지로 모르는 문제가 있으면 학습게시판을 통해 강사님들께 적극적으로 질문을 하였고 빠른시일 내에 답장을 해주셨습니다. 저는 진짜 모르겠거나 헷갈리는 문제들로만 하여 5~6번 정도 질문했던 것 같습니다.
실기
- 실기 준비: 필기를 합격하시면 실기 문제는 더 쉬울 거라 생각합니다. 실제로 문제 양도 적고 필기에서 나오는 토질 식들이 조금씩 변형되어 나오기 때문에 계산 문제는 크게 어렵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과년도(2013~2022) 위주로 필기 때와 마찬가지로 3회독을 하였습니다. 시험은 75점으로 안정적이게 합격했으나 제 시험때는 과년도문제보다는 토목실기 1,2권에 나오는 옛날 문제들이 많이 나왔어서 과년도를 풀고 시간이 남는 분들은 1,2권 문제들도 한번씩 풀어보시면 좋겠습니다.(교재는 토목기사실기 빨간색입니다.)
- 중점 공부 영역: 저는 실기에서 가장 배점이 큰 물량산출과 공정관리를 중점적으로 먼저 강의를 듣고 매일 1문제씩 풀었습니다. 절대 틀리면 안되는 문제들이기 때문에 꼭 먼저 풀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말따먹기 문제: 말따먹기 문제는 과년도에 나오는 문제들로만 정리하면 220문제 정도 나오는데, 이 정도 양만 외워도 충분했습니다. 말따먹기는 실기시험 2주 전부터 외웠습니다.
- 실수 방지: 실기는 크게 어렵다기보다는 계산 실수 한 번에 문제가 날아가기 때문에 실수만 안 하시면 반드시 합격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수험생들께 조언
사람마다 공부하는 양과 시간은 모두 다르지만 저는 비전공자로서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여 하루에 6시간 씩 꾸준히 공부하였던 것 같습니다. 부족한 사람은 잠깐의 여과시간을 줄이시고 부족한 만큼 더 열심히 공부하셔서 좋은 성적을 거두셨으면 좋겠습니다. 공부하는 기간만큼은 잠깐 죽었다고 생각하세요..ㅜㅜ 토목기사를 준비하시는 모든 수험생분들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