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 합격수기
합격수기
제목 | |||||
---|---|---|---|---|---|
글쓴이 | 정*우 | 등록일 | 2025.06.26 | 조회수 | 58 |
안녕하십니까 저는 토목 전공 4학년에 재학 중입니다. 3학년을 마치고 기사 응시를 위한 자격이 되어 2025년 겨울부터 바로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생각보다 필기 공부를 시작하는 시점부터 실기 응시를 하고 기사 자격증이 나오기까지 오래 걸린다고 생각되었습니다. 따라서 취업 준비 등 각자의 일정에 맞춰 응시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시험을 접수 한 후 설날과 겹쳐있어 실제 공부 기간은 3주 정도 됐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학교 선배님들이 한솔 아카데미를 추천해 주셨고 책은 무조건 노랭이랑 블랙박스만 풀면 된다고 하셨습니다. 우선 공부 시작 전 한솔 아카데미를 들어와 교수님들이 해주시는 오리엔테이션을 봤습니다. 교수님들의 여유에 믿음이 가서 바로 결제했고, 떨어지는 상황은 생각하지 않은 채 환급 연장반을 신청했습니다. 필기 교재는 노랭이 블랙박스를 활용하였습니다. 공부 계획을 세우기에 앞서 저도 합격 수기 게시판에 있는 글을 통해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우선 제가 했던 방법의 문제점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저는 강의를 중심으로 시험 준비를 진행했습니다. 처음 응용역학 부분에서 1주일을 허비하였고 생각보다 여유를 가지고 준비하다 보니 2월이 되었습니다. 그때부터 급하게 2배속으로 모든 과목을 수강하였습니다. 토질 같은 경우 확실히 이해하려고 했기 때문에 시간을 많이 쏟았던 거 같습니다. 강의를 듣고 모든 과목마다 뒤에 있는 기출문제를 풀었습니다. 6과목 2개년치를 풀었더니 시험이 6일 정도 남았습니다. 그때부터는 22, 23, 24년도의 문제만 풀었고 상하수도와 수문학 측량학은 고전 기출문제가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2년치 정도를 추가로 풀었고 결과적으로 평균 73.33 점으로 합격하였습니다. 공부 순서는 응용역학 토질 철콘 측량 수리학 상하수도공학 순서로 학습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강의만 잘 따라가서 버릴 건 버리고 자신만의 암기 노트를 만들어 공식과 문제를 풀면서 몰랐던 부분들을 추가하여 시험 전까지 외우신다면 공식의 암기 부분에서는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결론적으로 이 과정들을 모두 빠르게 끝내고 문제 중심으로 학습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물론 저처럼 10개년 치의 문제를 풀지 않아도 합격에는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최근엔 상하수도 측량에서 고전 문제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문제를 무조건 많이 풀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총 준비기간은 3주입니다. 교재는 역시 한솔 교재를 선택했고 84점으로 합격하게 되었습니다. 필기 때의 실수를 바로잡고자 물량 산출 공정관리를 최대한 1주일 만에 2주 정도는 기출문제만 계속 푼 것 같습니다. 하루의 목표치를 2개년으로 잡았습니다. 문제를 풀수록 아는 문제가 계속 나와 보기만 해도 공식이 떠오를 정도가 되자 총회독 수는 5번 정도 한 것 같습니다.
실기는 모르면 적을 수 없기 때문에 무조건 손으로 따라쓰며 잘 안 외워지는 공식만 따로 모아서 정리했습니다.비슷한 문제인데 다른 공식이 쓰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것 또한 꼼꼼하게 정리했습니다. 또한 말 따먹기는 2주 전 부터 조금씩 외웠습니다. 문제를 풀 때 말따먹기와 풀이 문제를 구분하여 말따먹기 또한 노트를 만들어 안 외워지는 것은 따로 정리하고 저만의 암기법을 만들었습니다. 앞글자만 따서 외운다 던지 문제를 보고 연상하여 외웠습니다. 말따먹기 또한 실기의 이론 부분이기 때문에 문제를 풀면서 또는 개념을 보면서 이해하면 훨씬 잘 외워졌습니다. 또 책에 나와있는 문제 외에 고전 말따먹기 같은 경우는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자료를 다운받아 책의 문제와 같이 외웠습니다. 말따먹기를 막막해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일단 10개년 기출에 있는 것만 다 외우려고 한다면 말따먹기로 시험에서 떨어지는 경우는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물량산출과 공정관리는 절대 틀리면 안되며 매일 감을 잃지 않도록 연습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시험에서 물량산출과 공정관리는 다 맞췄습니다.
정리하자면 필기는 최대한 빨리 개념을 끝낸 후 문제를 푼다. 틀리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고 하루하루 쌓아 나가다 보면 점수는 본인도 모르게 올라가 있을 것입니다. 실기는 서술형이기 때문에 대충대충 이 문제는 안다고 눈으로 보며 넘기면 안됩니다. 무조건 손으로 적으며 문제를 보고 반사적으로 나올 때 까지 연습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시험의 난이도가 어떻게 나올지 모르기 때문에 실기 책 1,2 권의 개념도 시간이 남으면 학습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실기는 학교와 병행 했지만 한솔 교수님들의 강의와 질문 게시판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열심히 강의 해주신 교수님들께 감사드리고 제 후기 참고하셔서 무난하게 합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파이팅!! |
이전글 | 2025년 1회차 합격 수기 |
---|---|
다음글 | 2025년 토목기사 1회차 합격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