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합격수기

HOME > > 합격수기

합격수기

글보기
제목
2025년도 토목기사 1회차 합격 수기(전공생)
글쓴이 김*영 등록일 2025.06.26 조회수 148

배경: 4학년 재학 중인 전공생입니다. 기사 필기 준비 당시가 3학년을 끝낸 겨울방학이었고, 학교 근로랑 야간 근무와 병행했습니다. 공부기간이 길지만 공부시간이 많이 부족해서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하려고 틈틈히 공부했습니다. 실기 준비할 때는 4학년 1학기 학기 중이었고, 중간고사와 겹쳤지만 중간고사 망쳐도 걱정하지 않고 기사 공부에만 집중했습니다.

[ 필기 ] 공부 기간 7주

 

[ 교재 사용방법 ]

1. 기초역학: 안 봄

2. 4주완성 핵심 및 과년도 문제해설(노랭이)

- 1단계 핵심 스피드 마스터: 각 과목마다 이론보고 바로 핵심문제 2회독씩(맞는 거 틀린 거 상관없이 모든 문제 2회독) 하고, 마지막에 응용역학부터 측량학까지 2번틀린 핵심문제만 다시 풀면서 밑에 포스트잇으로 개념, 풀이과정 적고 다시 풀어봤습니다. 두번 봤는데도 모르겠는 문제는 깊게 고민 안 하고 바로 해설 인강보며 포스트잇에 적었습니다.

- 2단계 과목별 스피드 마스터: 안 봄

- 3단계 과년도 실전 테스트: 2021-2024 다 한번씩 풀었는데, 시간제한 안 두고 풀이->틀린 문제 다시 풀어보고 포스트잇으로 개념, 풀이 적기. 모르는 문제는 인강 적극 활용했습니다.

3. Pick Remember 600선: 일하면서 시간 날 때마다 풀었습니다. 이 부록이 많은 도움 됐습니다. 저는 일하는 시간이 야간이었어서 일이 널널했는데, 근무 중에 시간나면 딴짓 안 하고 이것만 풀었습니다. 이 부록은 전체 3회독 했습니다. 책 사이즈가 작고 중요한 문제들만 알차게 모아져 있어 공부하기 좋습니다. 이것도 해설강의가 다 있어서 모르는 문제는 적극적으로 해설 인강 활용했습니다.

[ 공부순서 ] 응용역학-철콘-토질 및 기초-수리수문학-상하수도공학-측량학

본교재 1단계 이론 인강 시청 또는 책에 있는 이론을 본 후 핵심문제 풀이->본교재 3단계 과년도 풀이->픽리멤버(부록) 수시로 풀기

[ 과목별 공부방법 ]

- 응용역학: 이론 인강 시청O

기사 공부 직전인 3학년 2학기에 구조역학 수업을 듣긴 했지만 잘하는 편이 아니라서 인강 듣기 전에는 가장 어려운 과목이라고 생각했는데, 고길용 교수님의 인강을 듣고 나서는 가장 마음이 편한 과목됐습니다. 이때까지 배운 정역학, 구조역학 이론을 다 리셋하고 갓길용식 사고로 채워서 광명을 찾았습니다. 외워야할 공식을 최소화 해주셔서 암기량이 적기 때문에, 풀이 이해를 한 번만 해두면 그다음에 기출 풀 때 큰 문제 없었습니다. 교수님의 풀이법이 교재 풀이보다 훨씬 쉽고 빠르기 때문에 꼭!!! 이론 인강을 시청하시고, 모르는 문제는 책에 딸린 해설보다는 해설강의 보는게 더 도움이 됐습니다.

- 철콘: 이론 인강 시청OX

​학교에서 열심히 했던 과목이라, 안 배운 이론만 인강을 보고 나머지는 교재 이론과 문제 푸는 데에 집중했는데, 만약 인강을 봤더라면 수치나 규정 파트의 값들을 더 쉽게 외웠을 것 같습니다.

- 토질 및 기초: 이론 인강 시청X

이론->문제풀이 보다는 학부 지식을 기반으로 무지성 문제풀이를 하며 문제를 보면 어떤 공식이 나올 지 바로 알 수 있게 문제를 계속 풀면서 문제-공식을 묶어서 외워버렸습니다. 정말 힘들어했던 과목이라 이론보는게 너무 괴로워서 이론은 따로 안 보고 문제만 봤습니다. 똑같은 문제이거나 조금씩 달라서 많이 풀고 유형을 익혀야 편해지는 것 같습니다.

- 수리수문학: 이론 인강 시청X

토질 및 기초와 같습니다.

- 상하수도공학: 이론 인강 시청X

계산 문제가 조금 있긴 한데 거의 다 암기 문제라 이론보고 문제 바로 풀었습니다.

- 측량학: 이론 인강 시청O

혼자하려다가 생각보다 어려워서 응용역학처럼 이론 인강을 다 보고 문제를 풀었습니다. 인강이 정말 많은 도움 됐습니다.

 

 

[ 실기 ] 공부 기간 3주

ㄴ> 요약: 개념=말따, 계산=인강, 예제 반복, 특강

 

[ 공부순서 ] 물량산출-공정관리-토목시공학 특강

2권의 물량산출, 공정관리만 인강보고 모든 문제 3회독한 후 유형별로 풀이법 정리->토목시공학 특강30문을 보고 토목시공학 문제 이론+풀이->말따(지반공사, 토목시공 개념문제) 시간날 때마다 외우기

[ 교재 사용방법 ]

  1. 1권 지반공사: 안 봄

  2. 2권 토목시공학: 공정관리, 물량산출만 봄

  3. 3권 과년도 출제문제: 18, 19, 20,21년도만 봄

[ 과목별 공부방법 ]

- 지반공사: 말따로만 공부했습니다.

- 토목시공학

ㄴ> 물량산출: 꼭!!! 인강을 다 보고 보, 슬래브, 암거별로 문제 풀이 순서를 정리해두고 어떤 물량산출 문제를 풀더라도 같은 풀이로 풀 수 있도록 함. 2권의 모든 물량 산출 문제를 3회독씩 했음. 학부중에 배우는 내용도 아니라 처음 보면 이해가 하나도 안 가는데 한 번 감잡고 나면 계산실수 안하는게 더 중요해졌습니다.

ㄴ> 공정관리: 꼭!!! 인강을 다보고 공부하기를 추천하고, 개인적으로 공정관리가 힘들었던 이유는 내가 푼 풀이가 틀린 건지 아닌 건지 알 수가 없어서...라서 다양한 일정의 문제를 푸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ㄴ> 배합설계: 특강에서 공부했습니다.

ㄴ> 그 외: 말따먹기

[ 말따 ]

저는 구글에서 토목 기사 실기 말따 검색해서 나오는 자료를 다운받아서 썼는데 자료를 만든 사람마다 답이 다르고 생략한 부분도 많아서, 만약 돌아간다면 한솔 교재를 보고 엑셀로 직접 말따자료를 만들었을 것 같습니다. 제가 말따 외운 방법은 링 하나 달린 수첩을 여러 개 사서 앞에는 문제, 뒤에는 답을 적어 매일 들고 다니면서 외웠는데, 말따 양이 너무 많고 개념이 뭔지도 모르고 단어만 외우는 식으로 공부를 해서 힘들었습니다.

 

[ 특강 ]

실기 1-2주전에 한솔아카데미에서 실기 총정리 특강을 올려주시는데, 토목시공30문/물량산출5문/공정관리3문 이렇게 올려주셨습니다. 물량산출5문과 공정관리3문은 이미 2권에서 풀이 정리를 다 해뒀지만 복습차원에서 인강을 다 한번씩 봤습니다. 토목시공30문은 기본지식 하나도 없는 상태로 시작을 해서 처음 1회독이 굉장히 오래 걸렸지만(8시간씩 3일) 계속하니 30문제 푸는데에 2시간도 안 걸렸던 것 같습니다. 토목시공30문은 모든 문제를 10회독씩 해서 문제까지 다 외웠고, 이 특강에서 나온 문제가 시험에 정말 많이 나왔습니다. 개념 설명이나 풀이를 자세히 해주셔서 2권의 내용을 전혀 안 봤는데도 불구하고,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     후기     |

필기는 아슬아슬하게 붙은 편이라 만약 돌아간다면 (1)철콘 필기 이론 인강보기 (2)필기 기출 5개년 이상, 3회독 이상 보기를 해서 더 확실하게 붙고 싶습니다. 실기 점수는 잘 받았긴 했지만 문제운이 좋았던 것 같습니다. 계산문제는 거의 다 맞추고 말따 문제를 많이 틀렸습니다. 말따공부는 외우는 양에 너무 많아서 문제운이 좋지 않으면, 열심히 공부하는게 아닌 이상 힘들 것 같습니다. 물량산출, 공정관리 (+배합설계) 파트는 배점이 크기 때문에 꼭 다 맞춘다는 마음 가짐으로 회독을 굉장히 많이 하고 !!!계산 실수!!!를 안 하는게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공부할 당시 계산 실수를 너무 많이 했는데 어디서 틀렸는지 몰라서 한문제를 3시간 동안 풀었던 적도 있었습니다.

 

|     꿀팁     |

실기 시험은 주관식이고 시험지가 엄청 큰데, 풀이 작성란이 정말 작습니다. 게다가 좌우로 넘기는 방식이 아니고 위아래로 넘겨야해서 엄청 펄럭거리고 특히 물량산출 풀 때 계속 왔다갔다 펄럭펄럭 거려야 해서 제일 힘들었습니다. 일단 연필로 빈칸에 연하게 풀이를 한 후에 다른 문제를 다 풀고 나서 검산을 두 번 이상 한 후,  풀이 작성란에 볼펜으로 깔끔하게 풀이를 적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시험지에 연필/샤프 사용하면 안된다고 들어서 다 지우고 나왔습니다. 그리고 시험장 근처 카페에 최소 2시간 전에 도착해서 특강 문제랑 계속 틀렸던 기출문제 여러 번 풀고 들어가시는 걸 추천합니다. 양이 많아서 바로 시험장에 들어가면 기억이 하나도 안 날 것 같아요. 그리고 물량 산출에서 계산 부위 나누는 거는 그때그때 나누는 것보단, 보 종류별로 나누는 걸 정해두고 계속 그 방법을 따라가는게 계산 실수 안 하기 좋았습니다.

목록

이전글 건설재료시험기사 합격수기
다음글 2025년 토목기사 1회차 합격수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