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실기 질문있습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실기_토목시공 > 홍성협
글쓴이 김*영 등록일 2018.03.10 답변상태 답변완료
  • 선생님 안녕하세요.. 공부하다가 몇 가지 질문있어서 질문드립니다.

    Q1. 7번 문제에서 기준이 되는 숫자 6이 어떻게 나온건지 궁금합니다.. 그냥 수치일 뿐인가요?

    Q2. 이 문제에서 기초에 P와 M이 가해졌을 때, M의 방향에 따라 B축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편심이 작용하는 것은 알겠는데, L축에는 어떻게 편심이 작용할 수 있나요?

    Q3. 이 문제에서 각 모멘트 앞의 부호들이 어떻게 나온건지 궁금합니다.

  • 홍성협 |(2018.03.12 14:31)

    안녕하십니까? 홍성협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Q1: 히스토그램의 규격치에 대한 여유치는

          1) 양측 규격치에 대한 여유치의 기준은  6이며,

             편측 규격치에에 대한 여유치의 기준은 3입니다.

             교재 2권 품질관리의 히스토 그램부분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Q2: 문제에서 기초의 단면이 주어질때 폭B로 주어지는 경우가 아니고 길이방향으

          로 L이 주어지는 경우가 있을수 있습니다. 그러면 길이 L방향의 편심을 고려하

          여 계산하셔야 합니다.

          또한 Q3의 그림처럼 기초의 단면이 아닌 평면이 주어지고, 폭과 길이 방향으

          로 편심하중이 주어지게 되면 편심하중에 대한 유효폭B폭와 유효길이L을 모두

          고려해야합니다.

    Q3: 편심하중이 없었다면 외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은 말뚝 균등하게 작용하게 됩니

          다. 그러나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편심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편심하중이 쪽의

          말뚝은 하중이 증가하므로 (+)를 적용하며, 편심하중이 작용하는 반대쪽의 말

          뚝의  경우는 하중이 줄어들게 되므로(-)를 적용합니다.

          예를들어 1번 말뚝의 경우는 편심하중으로 인한 하중의 증가또는 감소는

           y축을 기준으로하면 편심하중과 말뚝이 반대방향에 위치하므로 하중이 감소

           할것입니다. 그러므로 y축에 대한 하중의 변화는 (-)를 적용합니다.  또한

           x축을 기준으로한 하중은 편심하중이 같은방향에 있으므로 하중이 증가할것

           입니다. 그러므로 x축에대한 하중의 변화는 (+)를 적용합니다.

    환절기 감기조심하시고 궁금하신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하세요!!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