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책 63페이지 1번 문제를 풀던 중 4번문항에 대해 위 사진 속 질문자와 똑같은 의문이 생겨 질문드리려던 찰나에 답변을 해놓으신 것을 검색해서 찾았습니다.
교수님꼐서는 표에 오류가 있다고 하셨는데 하천과 같은 경우 수심이 얕을수록 흐르면서 재폭기가 잘 되니 자정계수의 값이 큰 것이 맞지 않을까요? 즉, 표에서 설명하는 하천의 경우 수심이 얕을수록 자정계수의 값이 큰 것은 맞지만 문제의 경우 하천이 아닌 호수와 같은 정체된 수원에 대해서는 수심이 얕을수록 조류 번식이 심할 우려가 있어 자정계수의 값이 낮다고 보는게 맞다고 생각하여 확인 차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2. 두 번쨰 질문은 제가 '자정이 잘?활발히?(또는 덜) 이루어진다'라는 표현이 잘 이해가 되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제가 이해한 바로는 자정이 잘 일어난다는 것 중 하나는,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하여 수중의 유기물질을 분해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염이 심한 지역일수록 자정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즉, '작은 호수에서는 큰 호수에 비하여 깨끗하지 않다/오염도가 높다'는 당연히 옳은 선지겠지만(말씀하신대로 조류 번식이 심할 우려가 있어서요) '작은 호수에서는 큰 호수에 비하여 자정이 덜 이루어진다' 는 옳은 선지라고 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