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새요 지형측량 관련 질문드립니다
1) 두 점 사이에 있는 주곡선의 수를 구할 때 어떨 때는 소수점을 올림하고 어떨 때는 안 하는데 그 이유가 있나요?
*올림을 안 했을 때->축척 1:25000 지형도에서 A점의 표고가 876m, B점의 표고가 553m 일 때, 두 점 사이에 들어가는 주곡선의 수는?
32.3이 나와서 33을 답으로 했는데 32개가 답이라 틀렸습니다
*올림을 했을 때->축척 1:2500 지형도애서 A점의 표고가 621.5m, B점의 표고가 417.5m일 때, 주곡선 간격 등고선 수는?
20.4가 나와서 21개가 답이었습니다
2) 축척 1:5000 지형도상에 주곡선으로 등고선이 그려져 있다. 도면상에서 두 점 A, B의 직선 거리가 30mm일 때, A와 B간의 경사는?
저는 아무리 계산해도 1/30이 나오는데 답은 1/10입니다. H/D 공식 사용하는 거 아닌가요?
꼭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