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해당 문제에서 지하수 위의 모래의 단위중량을 적용할때 건조단위중량을 적용하는데 그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모래는 지하수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 무조건 습윤단위중량이 아닌 건조단위중량을 적용하나요?
모래층의 Gs와 e만 주어졌기 때문에 비포화구간(지하수면 위의 모래구간)에서는 해설처럼 건조단위중량만을 구할 수 있습니다.
포화도(S)가 주어졌다면 포화도를 고려한 습윤단위중량을 구할 수 있겠죠^^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