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제는 최근 토목기사필기시험에 출제되지 않는 문제이므로 정리하지 않아도 됩니다.
중독 토질및기초 교재는 토목기사필기시험 뿐만 아니라 공사 및 공무원시험 그리고 전공심화관련내용 등 거의 모든 내용이 수록되어 있으므로 모든 개념과 모든 문제들은 정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온라인 토질및기초 강의 첫 강의에서 본 강의를 설명하기 전에 설명한 것처럼 제가 강의에서 설명한 핵심개념과 필수예제를 우선적으로 정리한 다음 7~10개년 과년도 문제집을 구입해서 최근 기출문제 위주로 실전연습을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흙(2)를 통과하는 동안 (전)수두손실은 해설처럼 30cm입니다.
흙(2)의 두께는 40cm이고, 흙(2)의 하단부에서 흙(2)의 상단부까지 (전)수두손실이 직선적으로 변한다고 가정해서 해석을 합니다.
따라서 두께가 40cm인 흙(2)의 중간점인 C점은 흙(2)의 하단부에서부터 흙(2)의 두께의 절반인 20cm인 점이므로 흙(2)를 통과하는 동안 발생하는 수두손실은 30/2=15cm입니다.
흙(2)의 하단부의 위치수두 = -80cm
흙(2)의 하단부의 압력수두 = 120cm
흙(2)의 하단부의 전수두 = 120+(-80) = 40cm
점 C의 전수두 = 흙(2)의 하단부의 전수두 - 흙(2)의 하단부에서 C점까지의 수두손실 = 40 - 15 = 25cm
해당내용은 온라인 토질및기초 강의 중 흙의 투수성과 동해 단원에서 상향침투 파트를 다시 정리하기 바랍니다.
본 게시판은 토목기사 필기 및 실기시험에 관한 질문답변게시판이므로 앞으로 토목기사필기 수준을 넘어가는 내용의 질문에 대한 답변은 곤란하므로 양해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