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변위일치법의 핵심적인 개념은 [n차 부정정구조 = 정정구조 + n개의 적합조건식] 입니다.
정정기본형구조를 만드는 방법은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해석방법을 달리 할 수 있지만, 전체 구조를 단순보나 캔틸레버보로 치환하는 것이 가장 알기 쉽습니다.
n개의 적합조건식의 의미는 1차부정정구조이면 1개의 적합조건식으로 미지수를 해결, 2차부정정구조이면 2개의 적합조건식을 쓰고 연립방정식으로 미지수를 해결, 3차부정정구조이면 3개의 적합조건식을 쓰고 연립장정식으로 미지수를 해결하는 형태가 변위일치법 이론의 전개과정이 됩니다.
토목기사 시험은 대부분의 기출문제들이 1차부정정구조이며 1개의 적합조건식으로 미지수를 해결하는 형태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적합조건식은 구조물의 휨변형에 대한 내용으로서 이동지점 및 회전지점에서는 처짐각이 없다는 점, 고정지점에서는 처짐각 및 처짐 모두 없다는 점 등이 주요 해석포인트가 됩니다.
교재의 346페이지의 변위일치법 기본 사항을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공액보법은 정정보의 처짐각이나 처짐을 해석하는 기하학적 방법이며, 부정정구조를 해석하는 방법이 아니라는 것 또한 주의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