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토목시공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실기_토목시공 > 홍성협
글쓴이 김*관 등록일 2025.04.03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문제를 풀다가 모르는것이 생겨 질문하게 되었습니다!

    335P의 41번 문제에서 활동에 대한 안정을 검토할때 왜 W+P(v)에 tan파이를 안곱하고 마찰계수만 곱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책 2권의 36p 6번 문제에서 강사님이 강의에서는 지반고-계획고 이든 계획고-지반고이든 되도록이면 플러스 값들이 나오게 하면 된다고 하시는데 그렇게 하면 값이 엄청 커지게 되는데 어떻게 하는건가요? 또 6번의 정답을 보면 괄호열고 성토인지 절토인지도 써져있던데 그렇게 되면 지반고-계획고 또는 계획고-지반고라는 명확한 기준이 있어야 절토인지 성토인지 구분 할수 있는거 아닌가요? 헷갈립니다...

     

    그리고 책 2권에서 10p의 6번 문제에서 제방후 축소가 된다고 했는데 해설을 보면 줄어든 상단폭 2m에서 왜 양 옆에 각각 1m씩 줄어드는지 모르겠습니다. 1.5, 0.5 일수도 있고 한데 이유가 먼지 모르겠습니다.

  • 홍성협 |(2025.04.04 13:48)

    안녕하십니까? 홍성협입니다.

     

    1. 1-335P 41번

    마찰저항은 연직유효응력x tanΦ 또는 연직유효응력x 마찰계수μ로 산정할수 있습니다. 같은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해당문제는 질문하신 내용처럼 (W+Pv)tanΦ로 산정할 수도 있으나, 문제에는 내부마찰각Φ이 주어지지 않고 마찰계수μ가 주여져 있습니다. 그러므로 (W+Pv)μ로 마찰저항을 산출하시면 됩니다.

     

    2. 2-36P 6번

    지반고-계획고로 계산하시는 계획고-지반고 토공량은 동일하게 계산되며, 다만 부호만 다르게 산출됩니다.

    그리고 문제에는 성토량인지 절토량인지 표현하라는 조건이 없기 때문에 산출된 토공량이 성토량인지 절토량인지 표현할 필요는 없습니다.

    표현하시고자 한다면 다음내용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1) 대체적으로 지반고가 계획고보다 높은경우

      지반고-계획고로 계산: +값이 나오면 절토량, -값이 나오면 성토량

     

    2) 대체적으로 지반고가 계획고보다 높은경우

      계획고-지반고로 계산: +값이 나오면 성토량, -갑이 나오면 절토량

     

    3. 2-10P 6번

    질문하신 내용처럼 생각하실 수 있지만 제방자체가 좌우 대칭이므로 침하시 좌우 1m 제방이 줄어든다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몸관리 잘하시고 즐거운하루 보내세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