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응용역학 P.383의 예제 6번 질문입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응용역학 > 안광호
글쓴이 이*레 등록일 2025.04.16 답변상태 답변완료
  •  

    교과서 378페이지에서는 회전각의 방향이 시계 방향이면 (+), 반시계 방향이면 (-) 부호를 붙인다고 되어 있고

    핵심예제 6에서 절점 B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니 회전각의 부호는 (-)라고 보는 것이 맞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책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는데 + 부호를 붙였던데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안광호 |(2025.04.18 22:58)

    안녕하세요,,,

    처짐각법은

    (1) 처짐각방정식

    (2) 절점방정식을 통한 EKθ의 미지수 산정

    (3) 산정된 EKθ를 (1)에 대입하여 재단모멘트의 산정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θ가 시계회전 +, 반시계회전 - 어느 쪽이든 계산의 중간과정에서 미지수 EKθ를 산정하는 것이므로 부호처리를 계산과정에서 해도 그만, 안해도 그만이 됩니다.

    383페이지 핵심예제6에서 연직등분포하중에 대한 B절점의 회전각 θ를 -로 한다면

    (1)의 처짐각방정식에서 M_AB = -2EKθ- wL^2/ 12

    (2)의 절점방정식에서 -4EKθ + wL^2 /12 = 0 을 통해서 EKθ= +wL^2 / 48 이 될 것이며, 이것을 (1)의 식에 대입하게 되면 (3)의 재단모멘트 방정식은 M_AB = -2(wL^2 /48) - wL^2 / 12 = -wL^2 / 48  로 같은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