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비와 함수율은 흙 속(간극 속)에 물이 얼마 만큼 있는가를 무게의 비로 정의한 것입니다.
강의시간에 설명도 했고 교재에도 나와 있는 것처럼 함수비는 간극 속에 물의 무게(Ww)와 토립자의 무게(Ws)의 비로 정의한 것이고, 함수율은 간극 속에 물의 무게(Ww)와 흙 전체의 무게(W)의 비로 정의한 것입니다.
일반인에게는 함수율 개념이 좀 더 익숙하지만, 토질역학에서는 함수비를 주로 사용합니다.
함수비는 앞으로 배우게 될 6장 다짐 단원에서 최적함수비와 이에 대응하는 최대건조단위중량을 구하기 위해 실시하는 다짐시험에서 함수비를 변화시켜가며 이에 대응하는 건조단위중량을 구한 다음 건조단위중량과 함수비 사이의 관계 그래프인 다짐곡선을 그려서 최적함수비(OMC)와 최대건조단위중량을 구하게 됩니다.
함수비시험을 실시하여 함수비를 구한 다음 함수비를 여러 용도로 사용하게 됩니다.
토목기사필기시험을 준비하는 경우 한 가지 개념에 대해 깊이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
강의시간에 설명드린 개념과 예제를 정리한 후 과년도 문제집을 구입하여 최근 자주 출제되는 문제 위주로 실전연습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깊이있는 폭넓은 고민과 공부는 자격증 취득한 후에 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