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공정관리를 강의하고 있는 한웅규입니다.
진도관리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 완료작업량과 잔여작업량을 조사
2. 진도관리시점에서 잔여작업량을 기준으로 네트워크 일정계산을 실시
3. 잔여공기가 당초 공기보다 지연되고 있는 경로를 찾는다.
4. 이때, 잔여공기를 기준으로 ET계산을 한 다음 당초공기를 최종작업의 LT로 보고 역진계산하여 지연되고 있는 경로를 찾는다.
지연되는 경로는 일정계산결과 LT가 ET보다 크거나 같아야 정상이나 반대로 ET가 LT보다 크면 그 공정이 공기가 지연되고 있음을 의미하게 됩니다.
첫번째 6 4 7의 수치가 3 2 3으로 바뀌는 근거는 표준상태의 네트워크를 작성하여 계산공기를 구한 다음 15일째 진도관리시점에서 잔여공기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을 하여야 되기 때문에 잔여공기에 있는 일수로 바뀌게 되는 것입니다.
두번째 지연되는 경로를 검토할 때는 진도관리(15일)+잔여일수가 LFT보다 지연되고 있는가를 비교해보면 확인가능합니다.
작업 여유 잔여일 판정
2-3 21-15=6 3 3일 빠름
6-7 15-15=0 2 2일 지연
9-10 18-15=3 3 정 상
다른 문제를 하나 추가로 풀어서 첨부해드립니다.

토목기사 실기시험에서 공정파트 부분에서는 진도관리나 자원배당, 횡선식공정표는 출제빈도가 낮습니다. 한번만 풀어보시고 나머지 시간에는 공기단축, 최적공기위주로 학습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